Environment

플랑크톤을 먹는 쥐라기, 백악기 시대의 거대한 물고기

장종엽엔에스 2010. 3. 10. 13:43

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2-28
플랑크톤을 먹는 거대한 물고기는 공룡과 더불어 멸종되기 전에 약 1억 년 동안 선사시대의 바다에서 배회했음을 새로운 화석이 보여주고 있다.

아시아와 유럽, 미국의 새로운 화석이 알려지지 않은 플랑크톤을 먹는 과거의 거대한 경골어(硬骨魚, bony fish) 왕조를 어떻게 보여주는 지를 한 국제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물고기는 약 6천 6백 만∼1억 7천 2백만 년 전, 쥐라기와 백악기 시대에 바다를 채웠다.

연구팀은 관련 연구결과를 2월 19일,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수염고래, 돌목상어, 초대형 쥐가오리 같은 오늘날의 거대한 플랑크톤 피더에는 현존하는 가장 큰 척추동물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생물이 수 억년 전의 화석에서 누락되었다는 사실은 항상 미스터리였다."라고 Matt Friedman 박사는 말했다. Matt Friedman박사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지구과학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 논문의 저자이다.

"바다에는 공룡 시대 동안에 거대한 필터 피더(filter feeder)가 없었다고 생각하곤 했다. 그러나 우리의 발견은 한 거대한 물고기 왕조가 1억 년 보다 더 오랫동안 고대 바다에서 이러한 생태학적인 역할(필터 피더)을 만족했음을 보여준다."라고 Matt Friedman박사는 말했다.

가장 중요한 새로운 화석 중 몇 개는 미국의 캔자스 주의 퇴적물에서 얻은 것이며, 다른 화석은 영국의 Dorset, Kent, 일본만큼이나 먼 곳에서 얻은 것이다. 이 필터 피더 물고기 그룹 중 일부는 길이가 9미터까지 이르렀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돌목상어 같은 플랑크톤을 먹는 현대 거인의 크기와 비슷하다.

"이런 거대한 물고기가 간과되거나 잘못 확인된 이유 중의 하나는 해부학적인 구조에 있다. 자신들의 진화역사에서 이 물고기들은 아마도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골격에 있는 뼈를 줄였을 것이며 그 결과 사후에 대부분의 딱딱한 부분은 쉽게 흩어졌을 것이다. 화석기록에서 일상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잘 발달된 앞 지느러미이다."라고 Friedman박사는 말했다

부족한 단서로 인해 고 생물학자들은 이 분리된 지느러미의 주인은 오늘날의 황새치를 어느 정도 닮았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Friedman 박사 동료 중 일부가 지느러미와 두개골 뼈를 보존한 화석을 청소하면서 바뀌었다.

"연구자들이 발견한 것은 포식 어금니와 함께 늘어선 긴 칼 같은 주둥이와 턱이 있는 머리가 아니었다. 연구자들은 벌어진 입을 받치고 있는 이 없는 긴 턱과 막대기 같은 길다란 뼈를 발견했다. 긴 턱과 긴 뼈는 많은 양의 작은 플랑크톤을 필터링 하는데 필요한 거대한 새궁( 弓, gill arch)에 도움이 되었다."라고 Friedman박사는 말했다.

플랑크톤을 먹는 유사한 거대 물고기의 잔해는 이번 화석보다 매우 더 오래된 암석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자들은 이 물고기는 오랫동안 살지 못했으며 진화에 실패했다고 생각했다. "이 생물이 예전의 생각보다 더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자마자, 박물관 컬렉션을 조사하기 시작했으며 간과되거나 잘못 확인되었던 더 많은 샘플을 발견했다."라고 Friedman 박사는 설명했다.

흥미롭게도 수염고래, 고래상어 같은 현대의 거대한 필터 피더의 조상은 오직 Bonnerichthys(그림 참조)과 그 친척들의 멸종 이후에 나타났으며, 이는 오늘날의 필터 피더가 플랑크톤을 먹는 공룡 동기생이 남긴 생태학적인 벽감을 채우기 위해 진화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연구팀은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 미국의 드폴 대학교(DePaul University), 포트해이즈 주립대학교(Fort Hays State University), 캔자스 대학교, "Triebold Paleontology Inc & Rocky Mountain Dinosaur Resource Centre"의 과학자들로 구성되었다.
GiantPlankton.jpg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0/02/100227171454.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