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

남극 Mertz 빙하의 분열

장종엽엔에스 2010. 3. 10. 13:30

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2-28
호주, 프랑스 공동 연구진은 최근 호주 남극영역의 Mertz 빙하로부터 떨어져 나온 대형 빙산을 발견했다. 이 빙하는 길이 78km, 넓이 2,500km2로 유럽 룩셈부르크의 넓이와 유사한 크기로 길이 97km의 대형빙산과 Mertz빙하와의 충돌에 의해 떨어져 나온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남극 기후 및 생태계 공동연구센터(ACECRC)에서 2007년 시작되었으며 주로 Mertz빙하와 이 빙하에서 떨어져 나온 빙산을 주제로 진행하고 있다. Mertz빙하는 지난 20년 동안 대형 분열을 몇 차례 기록하였으며 21세기에는 금세기 초반에 발생한 이후 2번째 분열이다. 공동연구에서는 이 2차례의 분열을 통해 빙하의 분열을 이끄는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거대한 빙하의 분열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는 CRACICE(남극 빙하 분열 및 진화에 대한 공동연구)로 불리고 있다. 본 빙하는 넓이 2,550km2로 전체 길이는 78km에 달한다. 폭은 약 33~39km로 이 절반은 빙설(氷舌, glacier tongue)의 길이이다. 위성 사진을 통한 결과 예측으로는 이 빙하의 분열은 2월 12~13일 경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CRACIE팀은 장기 연구를 통하여, Mertz빙설에서 발생한 이와 같은 빙하의 조각들이 어떻게 빙하의 분열을 이끌게 되며, 빙산은 어떤 최후를 맞게 되며 빙설은 어떻게 지속적으로 존재하는지에 대해 연구해왔다. 연구팀은 주로 위성 자료와 빙하에 설치한 GPS 비콘(beacon)에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빙하의 표류와 분열 과정을 조사했다. 지난 수년간 빙설을 가로질러 서로 반대편으로 진행된 2개의 주요한 표류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유럽의 ENVISAT 위성을 이용해 촬영된 사진들은 우측에서부터 접근한 B-9B빙하가 빙하를 압박하게 되어 발생한 크레바스를 잘 보여주고 있다.

Mertz빙하는 매년 10~12기가톤의 빙하를 대양에 공급하고 있다. 빙하 중 떠있는 부분은 약 전면부가 160km였었지만, 현재는 80km 정도로 축소되어 있다. 빙설은 해안선에서 약 100km 이상 돌출되어 있으며 현재는 약 20~25km정도 길이이다. 새로운 빙산은 약 78km 길이에 33~39km 폭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두께는 400m이다. 비슷한 크기의 대형 빙산인 B-9B와의 충돌은 빙설과 함께 빙하 분할에 큰 역할을 했다. 지난 2월 12일에서 13일간 발생된 결과를 위성 사진 및 현장 GPS 비콘을 통해 수집하였다. 빙설의 남쪽부분을 관통하여 발생한 두개의 대형 조각들은 수십년에 걸쳐 진행되어 왔다. Mertz 빙하의 동쪽 부분에서 진행된 것은 1990년대부터 2002년까지, 다른 하나는 서쪽 부분에서 진행했다. 최근 이 2개의 조각들은 합쳐졌고, 서쪽부분의 조각이 결과적으로 활동이 활발해졌다. B-9B 빙산이 동쪽 빙설과 충돌했을 때가 최종 분해였으나 단순히 과거 존재하던 조각의 선을 따라서 발생한 것은 아니었다. 대부분 서쪽 조각에 의해 발생한 분해로 인해 과거 빙설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던 빙산의 남쪽 부분을 더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1987년 대형 빙산이던 Ross Ice Shelf에서 떨어져 나왔던 B9빙산의 대형 부분인 B-9B빙산은 사쪽방향으로 떠돌다 1992년 Mertz 빙설 동쪽에서 100km도 안되는 지점인 Nunnis빙산에 다달았다. 이후 18년간 같은 장소에서 머물던 B-9B빙산은 최근 움직임을 다시 시작하여 Mertz 빙설에 충돌하기 위해 방향을 틀었다. Mertz빙설은 길이 60km의 피요르드이며, 남극해 쪽으로 100km가량 뻗어있다. 매년 약 1km정도씩 연장되고 있어, 이 빙설은 약 70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두 빙설의 움직임은 큰 관심거리이다. 위성 사진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최근 분리된 Mertz빙하는 Mertz빙하와 프랑스 남극기지인 뒤몽 뒤르빌 사이의 Adelie Depression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부근은 심해 순환을 불러일으키는 지역으로 이렇게 생성된 물은 대양의 해수가 대륙을 순환하면서 형성되며, Mertz빙호(氷湖) 주위에서 주로 생성된다.

미래의 두 대형 빙산의 위치는 주위 대양의 순환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빙호의 범위, 빙하 생성 및 심해수 생성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해양 생태계에도 중요한 영향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빙호는 생물학적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어 조류 및 해양 포유류의 먹이 공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남극의 황제 펭귄에 있어서는 겨울에 이 지역에서 생식을 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100226112732-large.jpg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