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새로운 바이러스 이동 기작 밝혀져

장종엽엔에스 2010. 1. 27. 12:41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1-23
세포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동영상이 찍혔다. 이 동영상에서 바이러스는 그동안 과학자들이 믿어왔던 것보다 훨씬 더 빨리 움직이는 새로운 기작을 보였다. 따라서 일부 바이러스의 경우 이를 타겟팅하는 새로운 약물을 만들 수 있게 됐다. 영국 임페리얼 런던 대학에서 연구한 이번 성과는 Science 지에 새롭게 발표되었다.

기존에는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입해 자기복제를 하고서는 새로운 세포를 감염시키기 위해 방출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져 왔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이동속도는 각각의 세포안에서 얼마나 빠르게 자기복제를 할 수 있는가에 따라 제한 받는다고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vaccinia 라고 부르는 바이러스는 더 빠른 다른 방식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Vaccinia 는 수두바이러스로서 천연두를 없애는 백신이다. 라이브 비디오 현미경 (live video microscopy) 를 이용해 과학자들은 이 바이러스가 자기복제하는 속도에 근거해서 기존에 생각해 왔던 것보다 4배나 빨리 이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동영상은 바이러스가 이미 감염된 세포는 넘어가는 기작을 통해 세포사이를 이동한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감염되지 않은 세포만 최대한 빨리 다다를 수 있는 것이다.

Vaccinia 는 세포를 감염시킨 직후에 세포표면에 두개의 바이러스성 단백질을 발현한다. 이 단백질이 "이 세포는 감염됐다" 라고 표시하는 것이다. 다른 바이러스 입자들이 감염된 세포에 다다를 때 이들 단백질들은 숙주세포가 "actin tail" 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바이러스 입자들이 감염되지 않은 다른 세포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 입자들은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한 세포 표면에서 다른 세포로 계속 이동한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들은 actin tail 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게 바이러스를 조치했다. 세포감염초기에 이뤄진 이 조치는 실제로 바이러스의 이동속도를 크게 줄였다.

연구진은 다른 바이러스들도 이같은 빠른 이동 기작을 채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면 자기복제 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같이 입가의 발진 (cold sore) 를 일으키는 것 말이다. 따라서 vaccinia 를 통해 발견된 이 현상이 바이러스들의 공통된 특징일 수도 있다.

이번 발견은 궁극적으로 과학자들이 이 이동기작을 타겟팅하는 새로운 항 바이러스약물을 만들 수 있게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우리가 바이러스가 퍼지는 기작에 대한 생각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비슷한 전략을 다른 많은 바이러스에도 적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라고 Smith 교수는 설명했다.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0/01/100121141102.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