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1-21 |
|
![]() Plant-e는 지난 2009년 David Strik과 Marjolein Helder가 네덜란드 와게닝겐 대학(Wageningen University)으로부터 분리(Spin-off)한 회사기이기도 하다. 연구진은 식물의 성장과정에서 얻어지는 에너지는 재생가능하면서 지속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열광적이었다. 도시의 건물이나 주택 지붕은 이러한 식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적합하다. 식물은 성장하면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수준보다 더 많은 양의 당(Sugar)을 생산한다. 그리고 과잉 생산된 당은 주위의 토양으로 돌아가 분해되면서 양성자와 전자를 배출하게 된다. Plant-e의 기술은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토양에 전극(Electrode)을 주입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식물에서 배출된 전자는 전기로서 수확이 가능하다. Inhabitat의 Cat DiStasio는 Plant-e에 대한 새로운 소식을 소개하고 있다. 그는 Plant-e사가 네덜란드에 위치한 두 곳의 장소에서 살아있는 식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이들의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하려 한다고 전했다. 또한 Yes! 매거진은 지난 11월에 네덜라드 Hembrug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여기서는 300개 이상의 LED 조명을 활용하는 Starry Sky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와게닝겐에 위치한 Plant-e 본사에서는 성장하는 식물에서 얻어지는 전기를 활용하고 있다. 이들 프로젝트에는 지역 온실에서 제공하는 수생식물(Aquatic Plant)이 포함되어 있다. Plant-e의 최종 목표는 전세계 모든 지역에서 이 기술을 전파하는 일이다. Inhabitat는 "이 회사의 창립자들은 논이나 인근의 습지대와 같이 식물은 풍부하지만, 빈곤한 삶을 살고 있는 지역에 전기를 공급하는데 이 기술을 활용하기를 바라고 있다.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전기를 활용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 새로운 청정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은 전세계의 인구의 약 25%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Plant-e의 기술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논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모든 종류의 습지에 적용이 가능하다. Yes! 매거진은 이러한 경우에 엔지니어들이 습지대, 토탄지(Peat Bog), 맹그로브(Mangrove), 논 등의 표면 아래에 수평적으로 튜브를 설치하고 모듈 시스템처럼 동일한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부에서 본 생물보안 (0) | 2015.01.21 |
---|---|
미국과 영국, 사이버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협력 강화 (0) | 2015.01.21 |
전체 IT 투자에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율 증가 전망 (0) | 2015.01.21 |
효율적인 전기분해 물로 제조한 수소 전극 재료 연구 (0) | 2015.01.20 |
일본, 제조업부문의 박사인재 활용 현황 및 시사점 (0) | 201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