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3D 프린터 성장방향

장종엽엔에스 2014. 12. 18. 08:26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4-12-18
가트너 그룹은 3D 프린터에 대한 투자가 지지부지한 이유에 대하여 연구보고서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기업조직들 중 60퍼센트가 높은 초기 투자비용이 3D 프린팅 전략의 구현에 지연사항이 되고 있다고 가트너 그룹의 최신 연구보고서는 제시한다. 이번 연구 보고서는 해당 기술의 초기 얼리 어댑터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분명한 이익을 얻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2014년 2/4분기에, 가트너 그룹은 기업조직들이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거나 사용계획중 임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전 세계적인 차원의 광범위한 서베이를 수행하였다.

서베이 참가대상자들은 100이상의 기업에 속한 3D 프린터를 사용하거나 사용 중인 기업의 330명의 개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3D 프린팅은 비즈니스의 광범위한 영역 전체에 걸쳐서 높은 호소력을 가지게 얼리 어댑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고, 해당 기술이 의료분야에서부터 항공기기까지 다양한 제조업의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비용적인 문제인 것으로 여겨진다. 3D 프린터 벤더들은 자신들의 클라이언트와 밀접하게 협력하는 가운데, 해당 기술에 대한 잠재적인 응용적인 측면을 고려하면서, 자신들의 제품에 대한 비용대비 이익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기업조직들은 초기 투자비용 없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기를 바라고 있지만, 용이치 않아 로컬 3D 프린팅 서비스 사무소와 공통 파트너십을 통하여 이를 달성하고 있다. 3D 프린터를 도입하고자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프로토타이핑, 제품 개발, 혁신, 제품 라인에 대한 개선, 새로운 수익원천 개발, 커스터마이징된 제품 개발 등의 순인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산업은 이제 태동단계인 것으로 전해지며, 기업조직들은 완성된 제품의 제품 품질을 단기간에 확보하고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3D 프린팅의 설계와 프로토타이핑 애플리케이션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다른 서베이 질문에 대한 질의응답 결과에 기반을 두고, 2018년까지 사용자 중 거의 50퍼센트 이상이 3D 프린팅을 사용하여 자신이 소비하는 제품과 부품들을 생산하고 이를 판매하고 서비스하게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지속적인 혁신에도 불구하고, 서베이 응답자들 중 53퍼센트가 R&D 엔지니어링과 제조사들의 매니저들이 3D 프린팅 전략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영향자로 활동하고 있는데, CIO, CTO나 기타 운영 그룹의 외부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이 이와 같은 역할을 지연시키고 있는데, 바로 의사결정의 주된 참여자가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흥미로운 부분은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공급체인의 일부분으로 이를 활용하고자 할 때, 기존 프로세스에 대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연구와 제품 개발 비용이 크게 줄어들게 될 것으로 여겨진다. 완제품에 대한 평균 생산 감소 비용은 약 4.1퍼센트에서 4.3퍼센트가 될 것으로 여겨지는데, 해당 기술에 대한 얼리 어댑터들은 분명한 이익을 얻는 것으로 답변하고 더 많은 채택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게 될 것으로 전해진다.

3D 프린터를 선택할 때, 응답자들 중 37퍼센트가 채택 결정의 가장 큰 부분으로 완성된 부분의 품질이라고 답변하였고, 28퍼센트는 가격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답변하였다. 응답자들 중 단지 8퍼센트만이 제품속도에 대한 각각의 카테고리 측면에 대한 부분과 프린터가 사용하는 물질 범위, 부품 크기가 가장 중요하게 간주하여야 하는 부분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서베이 대상자 중에서 37퍼센트는 자신들의 조직 내에 한 대 이상의 3D 프린터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으며, 18퍼센트 이상의 조직에서는 10대 이상의 프린터를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는데, 기업마다 보유하고 있는 평균 3D 프린터 숫자는 5.4대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서베이를 통하여 분명히 제시된 것은 향후 해당 산업에 있어서 여전히 성장의 여지가 존재한다는 점에 있다. 벤더들은 해당 기술이 경쟁우위를 창출하기 위하여 어떠한 도구와 마케팅 방법에 대한 응용이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하고, 3D 프린팅 벤더들은 자신들의 클라이언트의 니즈에 부합되는 관점에서 자신들의 제품에 대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시간들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또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