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Heath

유비쿼터스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현황

장종엽엔에스 2009. 12. 21. 10:23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 2009-12-14
유비쿼터스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어 환자의 바이탈 정보에 있어서 심각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환자의 가족이나 의료진에게 이를 통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일본 연구진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International Journal of Web and Grid Services(웹과 그리드 서비스에 대한 국제 저널)에 게재되었다.

야마가타 대학의 아키오 코야마 교수와 연구진들은 야마가타 대학의 산업공학과와 후쿠오카 기술 연구소와 공동으로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선진국에서 노령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에 비례하여 의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버 세대의 각종 질환에 대한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적인 보완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기술개발을 통하여 원격 모니터링 기기를 통하여 입원상황이 요구되는 질병발생시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는 옷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바이탈 센서를 개발하였는데, 실버계층이나 이들의 가족이 손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주요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에 본 연구팀에서는 환자들의 일상생활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본 기기를 개발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바이탈 모니터는 환자 건강에 대한 특정 세목들을 또한 체크하는데, 바로 체온, 맥박, 허리 사이즈 등이 모니터링 되어 셀룰러폰 기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어 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필요 상황 발생 시 바로 환자의 가족이나 의료진들에게 발생한 문제들을 통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건강지표를 나타낼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체온으로, 정상적인 허용범위에서 크게 벗어나게
된다는 것은 환자의 몸에 이상신호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는 부분으로 바로 해석되어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맥박 센서가 심장의 부정맥에 대하여 파형형태와 맥박을 측정하여 관련 정보를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전송하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허리에 부착된 센서는 환자의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된다. 의료진으로 하여금 환자가 체중을 어떻게 관리하여 나가야 하는지에 대하여 의사 결정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허리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에 본 기술 솔루션을 개발한 연구팀에서는 고유 센서 기술을 개발하였을 뿐 아니라, 셀룰러 기반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또한 개발하였다. 본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연구 컨셉을 확장하여 신진대사 작용시 필요한 증후군에 대한 연구와 당뇨병에 대하여도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향후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09/12/091209134644.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