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9-11 |
1999-2004년 동안 미국에서 진단한 흡연 관련 암의 임상사례는 약 240만 건에 이른다. 미국 질병관리본부(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연구에 따르면, 이 임상사례의 50% 정도가 폐암과 기관지암으로 밝혀졌다. 또한 모집단의 90% 이상이 흡연과 관련된 암이라고 보고했다. “이 보고서의 데이터들은 흡연에 따른 심각한 손상에 대한 많은 증거들을 제공한다. 오랫동안 우리는 흡연이 폐암과 후두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고는 있었지만, 이 연구를 통해 매우 명쾌하게 밝혀졌다. 이 두 가지 암의 비율이 흡연자가 걸리는 암 사례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질병관리본부의 암 담당 부서 소속이자 이 연구의 주저자인 셰리 스튜어트(Sherri Stewart) 박사가 말했다. 미국 공중위생국(Surgeon General)에서는 흡연이 폐, 기관지, 후두, 구강, 인두, 식도, 위, 췌장, 신장 및 신우, 방광, 경부,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같은 암질병을 유발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이번 주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s」의 질병감시 요약(Surveillance Summary)보고서에는 질병관리본부의 암등록 프로그램(National Program of Cancer Registries)과 국립암연구소(NCI)의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Results 프로그램에서 연구자들이 분석한 데이터들이 실려 있다. 흡연은 이 보고서에 나타난 모든 암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이지만, 연구대상이 된 모든 암 임상사례가 흡연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암 중 몇 종류는 흡연과 상호작용하거나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감염이나 유전적 요소와 같은 여러 위험 인자들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흡연 정보가 유용하지 않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 포함된 몇몇 암 임상 사례는 흡연이 원인이 아닐 수 있다. **주요 결과물 : 괄호 부분은 100,000명 당으로 조정하여 나이를 고려한 비율을 나타냈다. - 흡연 관련 암 발생은 흑인과 비(非)라틴계 인종에게, 여자보다는 남자한테서 더 높게 발생했다. - 폐, 후두, 경부암 발생률은 흡연율이 높은 남부 지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켄터키(Kentucky)는 남자(133.2), 여자(75.5)로 가장 높은 폐암 발생률을 보였고, 후두암의 경우, 남자(9.7)는 세 번째로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으며, 여자(2.6)는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이 도시는 현재 가장 높은 흡연율(28.6%)를 보이고 있다. - 유타(Utah)(10.4%), 켈리포니아(California)(18.5%), 몬태나(Montana)(18.5%) 등의 도시가 있는 서부 지방이 가장 낮은 흡연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을 제외한, 서부 지방의 모든 암 발생률은 항상 최저를 기록하고 있다. - 2004년 조사에서, 남자 폐암과 기관지암 발생률은 남부지방(97.9)이 가장 높았고, 서부지방(66.0)이 가장 낮았다. 여자의 경우, 남부, 중서부, 북동부 지역(55.3?56.4)이 유사한 수치로 높았으며, 서부(48.1)가 가장 낮았다. - 2004년 조사에서, 남자 후두암 발생률은 남부지방(8.4)이 미국내에서 가장 높았고, 서부지방(4.8)이 가장 낮았다. 여자의 경우, 남부, 중서부, 북동부 지역(1.6?1.7)이 유사한 수치로 높았으며, 서부(1.1)가 가장 낮았다. - 남부지방에서 폐와 후두암 모두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것은 흡연 패턴과 일관되며, 흡연자의 암 발생과 강한 연관성을 반영한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100만 건 이상의 관련 임상 사례를 들어, 흡연과 상호작용하는 또다른 암으로 췌장, 방광, 식도, 신장, 위, 경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있다고 주장했다. “흡연은 미국내 질병과 때이른 죽음(premature death)을 예방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이며, 암 발생에 있어서 가장 큰 원인이다. 만약 흡연을 줄이기 위한 전략이 완벽히 수행된다면, 암이 가족과 사회에 주는 고통과 죽음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고 질병관리본부의 흡연 및 보건국의 매튜 메케너(Matthew McKenna)가 말했다. 흡연 관리 프로그램(National Tobacco Control Program)을 통해, 질병관리본부는 국가가 증거에 기반한 흡연 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기를 제안한다. 포괄적이고, 지속적이며, 책임이 있는 그런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반론 광고(counter-advertising)를 통한 대중매체의 캠페인도 질병관리본부는 국가에 제안하고 있다. 담배 광고 및 프로모션, 담배제품의 상업적 이용을 줄이기 위한 지역사회의 개입, 학교의 흡연 금지 정책 및 프로그램, 담배의 단가와 세금을 증가시킴으로써 담배 가격 높이기 등이 이러한 캠페인에 포함된다. 관련 연구는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ss5708a1.htm에서 볼 수 있다. |
'Medic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 능력을 향상시키는 올림픽 금지약물 EPO (0) | 2008.09.28 |
---|---|
비흡연자에게 있어 폐암의 위험 요소 (0) | 2008.09.28 |
심장병 환자의 생존을 위협하는 자동차 배기 가스 (0) | 2008.09.28 |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지중해식 식단 (0) | 2008.09.28 |
의사의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노년층의 수면 장애 (0) | 2008.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