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Heath

혈당수치가 높은 임산부일수록 임신 합병증 발병 가능성이 높아...

장종엽엔에스 2008. 6. 2. 21:25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5-08
임신성 당뇨로 진단될 수준이 안되더라도 혈당 수치가 높은 임산산부는 임신 합병증 발병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노스웨스턴 의과대학의 신진대사 및 영양학과 교수인 Boyd Metzger 박사 연구진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즉, 다국적으로 많은 수의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28주의 임신 시기에 접어들었을 때의 경구 포도당 내당력 검사와 이후 출산 결과를 관찰한 결과, 혈당 수치의 변화 폭이 큰 임산부일수록 제왕절개 출산 또는 체중이 많은 아기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Metzger 박사는 “임산부의 혈당이 높을수록 합병증 발병 가능성은 꾸준히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이러한 임산부의 임신 합병증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떤 시점에서 치료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고 밝혔다. 또한 공동 연구자인 미국 브라운 의과대학의 산부인과학 교수인 Don Coustan 박사는 “혈당 수치가 높을수록 임신 합병증 발병 가능성은 연속적인 선형 관계로 증가하지만 그러나 이런 임산부에게 치료 시기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고 주장하였다. 그는 오는 6월에 임신 및 당뇨 의학 전문가들이 고혈당증 치료의 장점 및 단점에 관하여 토론하는 학술대회가 열리지만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관련 의사들은 임산부의 혈당 관리와 관련하여 기존의 지침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 가지 확실하게 밝혀진 사실은 제왕 절개 출산을 하는 임산부일수록 혈당 수치가 높았지만 임산부의 비만, 나이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는 사실이다. 동 연구에서는 9개국의 15 센터들을 중심으로 하여 23,000명의 임산부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당뇨 환자는 단 1명도 없었다. 연구진은 이들 모두에게 임신 후 24주에서 32주 기간 동안에 포도당 내당력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이 방법은 먼저 공복 상태에서 혈당 수치를 측정하고 그 다음에는 75그램의 탄수화물이 포함된(미국의 표준 기준은 100그램이다) 용액을 마시게 한 다음에 다시 혈당 수치 측정을 통하여 2시간 동안에 신체가 당을 처리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연구 실험 결과, 혈당 수치가 높은 여성일수록 제왕 절개 출산 가능성이 높고 또한 임신자간전증 발병 가능성이 높게 되어서 결국 미숙아 출산 및 어깨난산(shoulder dystocia)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혈당 수치가 높은 임산부로부터 출생한 아기일수록 높은 인슐린 수치, 저혈당, 높은 출생 체중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혈당 수치가 높을수록 이러한 합병증 발병 가능성도 같은 추세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예를 들면, 당뇨 수준은 아니더라도 혈당 수치가 제일 높았던 임산부들의 경우 체격이 큰 아기를 출산할 가능성이 26%이었던 반면에 혈당 수치가 제일 낮았던 임산부들은 5%로 밝혀졌다. 동 연구 성과는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학술지 5월 8일자에 발표되었다.

또한 같은 학술지에 출판된 다른 연구결과에서는 임신성 당뇨병 치료를 위하여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슐린 치료와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인 메트포민의 효능이 서로 비교되었다. 이 임상 실험에서는 751명의 여성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임의로 선별하여 한 그룹에는 인슐린 치료를 그리고 다른 그룹에는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를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전체경구용 당뇨 치료제 그룹의 43%가 인슐린 보조 치료가 필요하였지만 메트포민 치료제로 인한 부적용은 아기나 엄마에게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인용 논문: 1. "Hyperglycemia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The HAPO Study Research Group, Boyd Metzger, Don Coustan, Joel Zonszein, May 8, 2008,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8, p.1991-2002.
2. "Metformin versus Insulin for the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Janet A. Rowan, William M. Hague, Wanzhen Gao, Malcolm R. Battin, M. Peter Moore, May 8, 2008,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8, p.2003-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