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1-29 |
|
![]()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벨몬트 (Belmont)의 맥린 병원 (McLean Hospital)의 발달생물정신병학 연구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는 하버드 의대 정신과 연구자인 마틴 타이처 (Martin Teicher)는 “이것은 흥분되고 중요한 연구”라고 말했다. 어린이들이 유아기에 일어난 문제에서 회복될 수 있는지 여부라는 ‘중요한 문제’는 이전에 해답을 찾았다고 그는 말했다. 이번 연구는 MRI 스캔과 다른 조치에 기반한 것으로 루마니아의 부카레스트 초기개입프로젝트 (Bucharest Early Intervention Project, BEIP)의 연구팀에 의해서 선택된 대상을 선택했다. 하버드 의대의 신경학자인 찰스 넬슨 (Charles Nelson)이 이끄는 이 연구그룹은 1989년 니콜라이 차우체스쿠 (Nicolae Ceauceșcu) 정권의 붕괴로 인해 원하지 않은 수천 명의 아이들이 국가가 운영하는 고아원에 보내졌다. 넬슨은 고아원의 관리자들은 공장 같은 체계로 일을 했으며 어린이들은 한 주에 17명의 다른 관리자를 보았을 것이다. 유아들은 일대일 상호관계를 거의 즐길 수 없었다. 이러한 정서적인 교감은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 매우 핵심적이다. 고아원은 오늘날 수용숫자가 급속히 감소했다. 하지만 10년 전까지 BEIP의 리더들은 좀 더 많은 인도주의적 도움이 필요했다. 이들은 또한 방치된 어린이들에 대한 영향을 연구할 수 있는 희귀한 기회를 찾아낼 수 있었다. 미국 정부의 연구비를 기반으로 BEIP는 제한된 숫자의 어린이들을 입양시킬 수 있게 했다. BEIP는 또한 루마니아의 당국자들과 함께 고아들과 지역 어린이들을 모집해서 연구에 참여시켰다. BEIP는 처음에는 136명의 어린이들을 참여시켰다. 학술지 <JAMA Pediatrics>지에 발표된 MRI 연구에 참여한 숫자는 69명뿐이었다. 이들 중 23명은 무작위로 선택되어 입양되었으며 26명은 고아원에 남게 되었다. 그리고 20명은 통제그룹으로 그 지역 어린이들이 선택되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보스턴 어린이 병원의 임상심리학자인 조하나 빅 (Johanna Bick)과 BEIP 그룹의 연구자들은 MRI기술인 확산텐서영상 (diffusion tensor imaging)이라 불리는 기술을 이용해서 각 어린이들의 48곳의 백색질 미세구조를 조사했으며 2세에서 8세 어린이들의 결과와 비교했다. 이 분석을 통해서 고아원에 머무른 어린이들은 상황이 악화되어 백색질의 네 가지 주요 지점의 발달이 지체되었다. 대부분 영향을 받은 부분은 일반적인 인지행위와 감정,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과 지시기능 및 감각처리와 연관되는 시경회로를 포함한다. 다른 분석에 의하면 입양된 그룹은 뇌발달에서 그 지역의 그룹처럼 변화하게 되지만 이번 발견은 덜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비무작위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인지부족이나 성인의 백색질의 감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방치되거나 학대받은 경우에는 나타난다. 빅은 “유년기에 방치된 경우에 동일한 부분에 영향을 받게 된다”고 말했다. 좀 더 중요하게 입양된 어린이들과의 비교에서 백색질 감소가 회복될 수도 있다. 루마니아에서 뇌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한 것은 어린이들을 보육가정 환경으로 옮기는 것으로 방치된 어린이들에게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그녀는 “이것은 정말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고 말했다. 이들이 방치로 인해 입은 피해는 가정환경에서 되돌릴 수 있다는 것이다. 준비된 성명서에서 정신병학 연구자인 영국 킹스 컬리지 런던 (King’s College London)의 안드레아 다네제 (Andrea Danese)는 이번 연구에 대해서 좀 더 많은 연구를 통해서 이러한 백색질의 변화가 행동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빅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 동의하고 있다. 그녀는 “현재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입양된 아이들의 백색질에서 나타나는 호전상태가 사실은 IQ나 집중력 그리고 감정통제와 같은 고도의 능력에서 증진이 이루어지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BEIT는 금년에 16세가 되는 루마니아의 고아들로부터 새로운 신경학적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출처: <사이언스> 2015년 1월 26일 |
'Medic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물 혼합, 전립선 말기암 종양의 성장 억제 (0) | 2015.02.02 |
---|---|
종양 미세환경에서 T 세포의 작용을 억제하는 PD-1 (0) | 2015.01.30 |
무의식이 의식보다 똑똑할 수 있을까? (0) | 2015.01.29 |
암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 효율적인 메탈화 효소 발견 (0) | 2015.01.29 |
갈증을 조절하는 뇌회로 (0) | 201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