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1-01 |
|
![]() NIAID의 연구팀이 개발한 2종의 DNA 백신은 자이레와 수단에서 분리된 에볼라 바이러스의 막 당단백질 및 마버그 바이러스의 막 당단백질을 코딩하는 DNA로 제조되었다. 이전 연구들에서 이들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은 영장류 동물 모델에서 높은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고 한다. Makerere 대학 Walter Reed 프로그램에서 진행한 이번 임상 1상 시험에서는 2009년 1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우간다의 Kampala 지역의 18~50세 사이의 정상인 10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지원자들은 무작위로 분류되어서 에볼라 백신(30명), 마버그 백신(30명), 에볼라+마버그 백신(30명), 위약 백신(18명)이 시험 시작일, 4주, 8주차에 투여되었다. 임상 시험의 1차 목표는 백신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소적 및 전신의 이상반응과 부작용이 평가되었다. 그 외에도 ELISA를 이용하여 항체 반응에 기초한 면역원성과 ELISpot 및 세포 내 사이토카인(cytokine) 염색 어세이를 통하여 T 세포 반응도 평가되었다. 108명 중에서 100명이 최종 시험을 완료했으며, 면역원성 시험에서는 107명의 데이터가 확보되었다. 여기서 백신 투여의 내약성은 우수했으며, 백신 투여 그룹과 위약 그룹 사이에서 국소적 및 전신 반응에는 별다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108명 중에서 마버그 백신이 투여된 1명 만이 적혈구 수치가 급락하는 부작용이 확인되었지만 백신과는 연관성이 없었다고 한다. 한편 백신의 투여에 의하여 바이러스 단백질에 대항하는 중화 항체와 T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은 촉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이 3회 주사된 임상 참여자의 57%(30명 중 17명)에게서 4주 후에 자이레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 당단백질에 대한 항체 반응이 나타났으며, 에볼라+마버그 백신이 투여된 참여자의 47%(30명 중 14명)에게서 항체 반응이 확인되었다. 이들 참여자들의 수단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 당단백질에 대한 항체 반응은 각각 50%(30명 중 15명)와 50%(30명 중 15명)였다. 한편 마버그 바이러스 백신이 투여된 참여자들의 바이러스 당단백질에 대한 면역반응은 31%(29명 중 1명)로 나타났으며, 에볼라+마버그 백신이 투여된 참여자의 경우에는 23%(30명 중 7명)로 확인되었다. 에볼라 백신 투여 그룹의 자이레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T 세포 반응은 63%였고, 수단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43%였다. 한편 에볼라+마버그 백신이 투여된 그룹에서는 자이레 발생 바이러스에 대한 T 세포 반응은 33%였고, 수단 발생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33%였다. 마버그 백신 투여 그룹에서 마버그 바이러스에 대한 T 세포 반응은 52%였고, 에볼라+마버그 백신이 투여된 그룹에서는43%였다. Ledgerwood 박사는 “위험하지 않은 침팬지 감기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DNA를 전달하는 보다 효과적인 백신에서 이미 개발되었으며, 현재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이 진행되는 미국, 영국, 말리, 우간다에서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에 대하여 영국 옥스포드대학 제너연구소의 Saranya Sridhar 박사는 “이번 결과는 아프리카를 위한 백신 개발이라는 의문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4년 에볼라 발생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우리는 에볼라와 마버그를 포함하여 필로바이러스(filovirus)에 대한 백신이 임상적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는지를 스스로에게 물어보아야 한다. 현재의 에볼라 발생에 대한 국제적인 반응은 임상 백신 개발의 진행의 가속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장래의 백신 개발에 대한 기준점도 설정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아프리카에서 필로바이러스 백신 활용을 향한 첫 번째 단계”라고 설명했다. Journal Reference: Hannah Kibuuka, Nina M Berkowitz, Monica Millard, Mary E Enama, Allan Tindikahwa, Arthur B Sekiziyivu, Pamela Costner, Sandra Sitar, Deline Glover, Zonghui Hu, Gyan Joshi, Daphne Stanley, Meghan Kunchai, Leigh Anne Eller, Robert T Bailer, Richard A Koup, Gary J Nabel, John R Mascola, Nancy J Sullivan, Barney S Graham, Mario Roederer, Nelson L Michael, Merlin L Robb, Julie E Ledgerwood.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Ebola virus and Marburg virus glycoprotein DNA vaccines assessed separately and concomitantly in healthy Ugandan adults: a phase 1b,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Lancet 2014; DOI: 10.1016/S0140-6736(14)62385-0 |
'Medic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 항체에 의한 전신 홍반성 루프스 발생 기작 (0) | 2015.01.05 |
---|---|
암 전이를 치료하는 항암 항체 치료 (0) | 2015.01.05 |
의약품을 뇌로 전달하는 젤라틴 나노입자(Gelatin nanoparticle) (0) | 2014.12.31 |
줄기세포로 만든 초기 난자와 정자 (0) | 2014.12.31 |
면역세포의 변형으로 모발 성장을 활성화 (0) | 201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