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4-12-29 |
|
![]() 중국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 Meng-zi Zhou, Hui-jin Wang 연구원은 각각 여름철 낮과 밤의 온도차와 야간 저온을 예측요소로 하여 옥수수와 벼 생산량의 1차원 선형 통계모델을 구축하였다. CMIP5에서 선택한 비교적 우수한 모의능력을 가지고 있는 14개 기후모델로 동북지역 미래기후를 예측하였고 그 결과, 여름철 야간 저온은 현저한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낮과 밤의 온도차 변화는 미래에서 현저하지 않았다. 위의 기후변화에 기반하여 통계모델을 결합하여 미래 3개 시기(2010~2039, 2040~2069, 2070~2099)의 옥수수 생산량은 1976~2005년도 시기에 비해 각각 2.92%, 3.11%, 2.63%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기후모델과 작물모델의 불확정성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이 변화의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s)은 각각 (-3.50%, 24), (-11.74%, 19.60%), (-5.14%, 13.76%)이다. 벼가 기후 온난화를 받는 영향은 더욱 현저하였는데 각각 7.19%, 12.39%, 14.83% 향상되었고 95% 신뢰구간은 각각 (1.37%, 14.29%), (3.54%, 25.29%), (3.11%, 30.77%)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후변화와 작물모델 이 두 가지의 불확정성 내원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생산량 변화의 불확정성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설명한다. 향후 더욱 많은 연구를 통해 양적 기후변화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림: 2040~2069년대 동북지역 기후변화만 고려(왼쪽), 작물모델만 고려(중간) 및 두가지 불확정성 내원을 동시에 고려(오른쪽)할 때, 옥수수(a), 벼(b) 생산량변화의 상자그림(box plot) 원문정보: Zhou, M. Z., and H. J. Wang, 2015: Potential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on crop yield in northeastern China. Adv. Atmos. Sci., 32(7), doi: 10.1007/s00376-014-4161-9. |
'Environ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물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신선도 모니터링 장치 개발 (0) | 2015.01.06 |
---|---|
환경에 해로운 산업폐기물을 제거하는 나노 필터 개발 (0) | 2014.12.31 |
캘리포니아, 전기차 보급 현황과 정책 (0) | 2014.12.26 |
열대 해양을 환기시키는 무역풍: 증가하는 산소 결핍에 대한 설명 (0) | 2014.12.26 |
차량에서 방출되는 산화질소의 양을 줄이는 방법 (0) | 201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