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4-16 | ||||||
금 나노 입자들의 크기, 모양, 화학 조성은 금 표면의 자유 전자들과 빛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독특한 광학 특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국지화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금/실리카 나노 쉘, 나노 막대, 나노 케이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금 나노 입자들이 근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흡수 특성을 가지도록 조절되었다. 근적외선에 반응하는 나노 입자들을 사용하는 목적은 대부분의 조직 구성 원소에 대하여 이 영역의 파장대에서 빛의 흡수가 작고 투과가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이오 메디컬 응용에 매우 장점이 된다. 더욱이, 금의 생체 적합성과 생물학적으로 관련 있는 분자들을 황-금 상호 작용을 통하여 표면에 연결할 수 있고 스텔스 기능을 위한 폴리에텔렌 글리콜(PEG) 혹은 타겟팅을 위한 항체를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로 인해 나노 입자들이 치료나 진단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산란 이론 혹은 마이 이론은 구 안으로 들어오는 전자기파에 대한 맥스웰 방정식에 대한 분석적인 해법이다. 이 이론을 이용해 작은 입자들의 흡수와 산란 단면 개요를 계산할 수 있다. 산란 이론에 기반을 둔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금 나노 입자들의 광학 특성들이 형태나 입자 모양에 대해 예측될 수 있고, 특정한 파장에서 강하게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될 수 있다. 금 황화물로 내부가 구성된 금 나노 입자들 혹은 금/금황화물 복합구조를 가지는 금 나노 입자들은 Zhou 등에 의하여 처음으로 자기 조립을 통해 제조되었다. 그리고 근적외선 영역에서 강한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재료들의 광학 특성들은 그 후에 유전체 코어/금속 쉘 구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들 입자들의 정확한 구조에 대한 몇몇 논쟁이 있었으나 코어/쉘 모델은 데이터들을 잘 설명하는 것처럼 보이고, x-선 회절은 금 표면과 금 황화물 복합 구조를 뒷받침해 준다. 더욱이 생체 의학 응용에서의 연구를 위해, 입자들은 연속적인 금 코팅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며 이것은 위에서 논의된 것처럼 표면 처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근적외선에서 공명하는 금/실리카 나노 쉘은 치료나 이미징 쪽으로 응용되며 보통 120 140 nm의 직경을 가진다. 반면,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금/금황화물 나노 입자는 보통 직경이 35 55 nm 사이이다. 마이 산란 이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본 연구자들은 금/금황화물 나노 입자들의 흡수 효율이 투과 전자 현미경 결과를 기반으로 한 크기로부터 약 96-99%에 가까운 것으로 계산하였다. 그 특성들이 본 연구에 요약되었다. 143 nm의 크기를 가지는 금/실리카 나노 쉘은 빛 에너지의 33%를 산란시키고 광열 치료를 위해 약 67%를 흡수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전의 이미징 결과들은 산란 모드로 검출을 하는 광학 간섭 단층촬영에 기반을 두어 얻어졌다. 그러나 흡수 모드에 기반을 둔 단층 촬영 검출은 금/금황화물 나노 입자의 이미징에 더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적으로 작은 입자들은 작은 크기와 높은 흡수 효율 그리고 조립 용이성으로 인해 암치료제로 더 적합하다. 암세포의 새기 쉬운 맥관 구조는 거대 분자와 나노 입자들을 분출을 허용함이 잘 알려져 있고 이것이 나노 기술에 기반을 둔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금/금황화물 나노 입자들은 크기에 기반을 둔 암세포 치료에 대한 추가적인 장점이 있을 것으로 보이고, 빠르게 성장하는 암세포들의 처리를 위해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
'Medic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식이 습관을 통한 알츠하이머 예방 (0) | 2010.04.27 |
---|---|
스트레스, 불안 그리고 의기소침 사이의 생물학적 관련성 (0) | 2010.04.27 |
새로운 방식의 림프종 치료제 (0) | 2010.04.26 |
혈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전립선 암 환자 (0) | 2010.04.26 |
뇌세포의 지식 습득방법을 에뮬레이션하는 멤리스터 (0) | 2010.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