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3-04 | ||||
미국 하버드 대학 연구진은 하루에 2조각 정도의 다크 초콜릿을 섭취하면 출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성이 52% 정도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샌프란시스코 시에서 열린 미국 심장 협회가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다. 그러나 초콜릿의 이와 같은 효과는 출혈성 뇌졸중 이외의 다른 종류의 뇌졸중 발병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사실도 함께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허혈성 뇌졸중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분류되는데, 허혈성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일부분 또는 전체가 막혀서 발생하는데 미국 국립 신경학 장애 및 뇌졸중 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전체 뇌졸중 발생 건수 중에서 80% 정도가 허혈성이며 나머지 20%는 뇌 혈관이 파열되어서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분류된다. 동 연구 성과를 발표한 하버드 대학의 Martin Lajous 박사는 “초콜릿이 좋은 이유는 여러 가지로 설명될 수 있지만 일단 코코아 성분이 심혈관에 작용을 하여 혈압과 혈관의 유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초콜릿을 소량으로만 섭취하면 건강에 유익하다” 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다크 초콜릿이 출혈성 뇌졸중에 유익한 원리를 규명하기는 힘들지만 초콜릿의 코코아 성분에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및 혈전을 예방하는 효력이 있는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였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수행을 위하여, 4,369명의 프랑스 중년 여성들을 분석하였는데 이들은 1993년도에 연구가 시작될 무렵에 심장질환이 있었고 이들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23으로 정상적인 체중을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구진은 동 연구가 시작할 무렵에 이들에게 24시간을 기준으로 하여서 섭취하는 음식 종류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는데, 특히 초콜릿, 사탕, 초콜릿 음료수, 초콜릿 무스, 초콜릿이 발려진 빵, 초콜릿이 포함된 과자 및 초콜릿이 함유된 케익 등과 같은 7가지 종류의 식품을 기준으로 하여서 코코아 섭취량에 대하여 관심을 두었다. 12년의 연구 기간 동안에 493명의 여성들이 심혈관 질환 환자로 진단되었는데 여기에는 200명의 심장발작 환자 및 293명의 뇌졸중 환자로 진단되었다. 그리고 뇌졸중 환자 중에서 189건은 허혈성 그리고 91건은 출혈성 뇌졸중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진은 흡연, 운동량, 체중, 혈압 및 콜레스테롤 수치 및 당뇨 등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일단 코코아를 가장 많이 섭취한 그룹과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 사이에서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성 차이는 통계학적으로는 별다른 유의성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뇌졸중의 종류를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초콜릿을 가장 많이 섭취한 여성들의 경우 출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성이 낮아진다고 분석되었다. 즉, 하루에 9 그램 이상의 초콜릿을 섭취하는 여성의 경우 하루에 0.1그램 이하의 초콜릿을 섭취하는 여성에 비교하여 출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성이 52% 더 낮았다. Lajous 박사는 이번 연구 실험에 참여하였던 프랑스 여성들은 35% 정도의 코코아가 함유된 다크 초콜릿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히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확증되려면 별도의 다른 연구진의 연구 수행을 통하여 입증되어야 한다” 고 밝혔다. 그러나 연구진이 주장한 초콜릿의 효과에 대하여 모든 사람들이 동의하지 않고 있는데, 미국 뉴욕 의대의 Keith Siller 박사는 “초콜릿이 심장질환과 뇌졸중 예방에 효과가 있다면 정말 좋은 일이지만 그러나 단지 그렇게 되었으면 하는 바램일 뿐이다. 초콜릿의 쓴맛을 간직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심혈관의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이에 대한 강력한 과학 증거는 없다” 고 지적하였다. 참고 사항: Martin Lajous, American Heart Association`s Cardiovascular Disease Epidemiology and Prevention Annual Conference, San Francisco, March 3, 2010
|
'Medic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자동차 중요 재료 세계 시장 전망 (0) | 2010.03.10 |
---|---|
수욕수(recreational water)에서 세균성 오염을 검출하는 방법 (0) | 2010.03.10 |
단백질의 동역학적 측면, 면역반응에 중요하다는 점이 밝혀져 (0) | 2010.01.27 |
뇌암이 표적 항암제를 피하는 방식 (0) | 2010.01.27 |
암 발병율을 높이는 비만! (0) | 201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