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Heath

고혈압과 심근 비대와 연관된 산화질소 생성 효소3

장종엽엔에스 2009. 12. 25. 23:27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 2005-04-16
고혈압(Hypertension)이 심근(myocardium)에서 산화질소 생성효소3(nitric oxide synthase-3 (NOS3))의 결합을 억제하여 심근 비대(cardiac hypertrophy)를 유발한다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산화질소 생성효소3의 결합억제를 차단하는 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바이오프테린(tetrahydrobiopterin (BH4)이 심근비대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지닐지도 모른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학술지 4월호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 에 미국 존스 홉킨스(Johns Hopkins University) 의대 Dr. David A. Kass연구진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고혈압 모델은 마우스에서 대동맥을 수축(constricting the aorta)시킴으로써 유도되었다.
대조군 마우스군에서 대동맥 수축은 고혈압을 이으켜 심근 비대를 나타내게 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산화질소 생성효소3이 결핍된 마우스에서는 심근 비대가 훨씬 완화한 정도로 나타났고 심장 기능에 대해서도 큰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산화질소 생성효소3가 심장에서 활성산소류(reactive oxygen species)를 증가시키나 이 효소가 결핍된 마우스는 활성산소류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고혈압 동물 모델에 BH4 성분을 처치하면 산화질소 생성효소3의 결합억제(uncoupling)가 일어나 활성산소류의 생성이 줄어들고 이는 좌심실 리모델링(left ventricular remodeling)과 기능부전을 방지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연구진은 가정했다. 그러나 BH4의 항산화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항산화질소 생성효소 활성 저해 기능을 가지지 않은 테트라하이드로네오프테린(tetrahydroneopterin)은 반응성 산화질소 종류의 증가를 억제하지 못했고 심장기능 부전도 예방하지 못했다.

“ 이는 산화질소 생성효소3 의 결합억제가 활성산소류의 생성을 일으켜 심근 비대 원인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라고 연구진은 말했다.

“산화질소 생성효소3 의 결합억제를 차단하는 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바이오프테린 혹은 이것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성분이 심장 부전의 공통된 원인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시험해 볼 필요가 있다.” 라고 연구진은 말했다.

원본논문:
Oxidant stress from nitric oxide synthase-3 uncoupling stimulates cardiac pathologic remodeling from chronic pressure load
Eiki Takimoto, Hunter C. Champion, Manxiang Li, Shuxun Ren, E. Rene Rodriguez, Barbara Tavazzi, Giuseppe Lazzarino, Nazareno Paolocci, Kathleen L. Gabrielson, Yibin Wang, and David A. Kass
J. Clin. Invest. 2005 10.1172/JCI200521968
출처 :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503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