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5-03 |
그 동안 당뇨 질환으로 인하여 당뇨성 망막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왔는데, 최근에 Ophthalmology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의 내용에 따르면 여성 당뇨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교하여 가장 흔한 녹내장 질환인 `원발개방각 녹내장` (primary open-angle glaucoma) 발병 위험성이 70% 더 높다는 사실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동 연구 결과를 발표한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안과학과 교수인 Louis Pasquale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제2형 당뇨 환자의 경우 녹내장 발병 가능성이 높다는 기존의 생각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들이 제시되었다” 고 밝혔다. 미국 안과 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약 2백 만 명의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들이 있으며 이 질환으로 인하여 실명에 이르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그러나 그 동안 녹내장과 당뇨의 연관성에 대하여 확실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는데 미국 피츠버그 의과대학의 안과학과 과장인 Joel Schuman 박사는 “녹내장과 당뇨의 연관성에 대하여 이견들이 존재하고 있다” 고 밝히면서 한 예로 Ophthalmology 학술지에 발표된 한 논문의 내용에 따르면 4,000명의 네덜란드 사람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임상 실험에서는 당뇨와 녹내장의 연관상을 입증하지 못하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Pasquale 박사 연구진에 의해 수행된 이번 연구에서는 20년에 걸쳐서 간호 보건 연구에 참여하였던 76,000명의 여성들의 데이터가 분석된 결과 당뇨와 녹내장이 연관성이 제시되었으며 또한 미국 당뇨 협회는 당뇨 환자는 녹내장 발병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녹내장 질환은 눈의 유압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시각신경의 손상을 유발하여 시력 상실 및 실명에 이르게 한다. 녹내장 질환은 초기에 진단되면 시력 상실을 예방할 수 있는 치료가 가능하다. 현재 미국에서는 약 5천 만 명의 사람들이 녹내장으로 인하여 시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 Schuman 박사는 당뇨로 이하여 녹내장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에 대하여 몇 가지 원인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의 하나는 당뇨로 인한 눈의 압력 상승 현상이다. 또는 당뇨 질환 자체가 시각 신경이 손상을 입기 쉬운 상태에 빠지게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녹내장 중에서 혈관신생 녹내장은 당뇨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유발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 유형의 녹내장 질환은 망막에 공급되는 산소 유입량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산소 부족을 감지한 망막이 산소 공급을 요구하는 생체 신호를 전달하게 되어서 새로운 혈관들이 생성된다. 망막에 새로운 혈관들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안구에 상처를 낼 수 있고 또한 액체 배출 시스템의 기능을 방해하기 때문에 안압이 증가하게 된다. Schuman 박사는 녹내장은 보통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에 특히 당뇨 환자의 경우 정기적으로 시력을 검사는 것이 좋다고 권고하면서 “실제로 안과 검사 없이 녹내장을 진단할 수 없으며 녹내장으로 인한 시력 상실을 예방하려면 치료를 가능한 빨리 받아야 한다. 일단 시각 신경이 망가지면 다시는 복구할 수 없다” 고 설명하였다. 미국 노스웨스턴 메모리얼 병원의 David Oyer 박사는 모든 당뇨 환자는 1년에 한 번 정도 안과 전문의의 검진을 통하여 녹내장 및 당뇨와 연관성이 있는 안과 질환 유무를 진단받는 것이 좋다고 충고하였다. 그는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식사 전후 각각 혈당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3개월에서 6개월마다 A1C 수치를 측정하여 7이하 가급적이면 6.5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고 권고하였다. 미국 당뇨 협회에 따르면 당뇨 환자의 경우 A1C (일명 A1C형 혈색소(HbA1C: glycated hemoglobin)) 측정을 통하여 2개월에서 3개월 동안의 혈당 조절 상태를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고 한다. Schuman 박사는 정기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고 하면서 “운동은 눈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위의 건강에도 유익하다. 정기적으로 높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하면 안압도 감소하고 눈 부위의 혈액 순환도 좋아진다” 고 밝혔다. 인용 논문: 1. "Low Intracranial Pressure: A Tipping Point in Our Understanding of Primary Open-angle Glaucoma?", Louis Pasquale, Opthalmology, Vol.115, Issue 5, May 2008, Pages 761-762. 2. "Improved Visualization of Glaucomatous retinal Damage Using High-speed Ultrahigh-Resoluti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arkan Mumcuoglu, Gadi Wollstein, Maciej Wojtkowski, Larry Kagemann, Hiroshi Ishikawa, Michelle L. Gabriele, Vivek Srinivasan, James G. Fujimoto, Jay S. Duker, Joel Schuman, Opthalmology, vol.115, Issue 5, May 2008, p.782-789.e2 |
'Medic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 신장 기기를 이용한 급성 신부전 치료 (0) | 2008.06.02 |
---|---|
혈액 대용제에 대한 논란 (0) | 2008.06.02 |
비만에 대한 2편의 연구결과 (0) | 2008.06.02 |
결장암 발병을 촉진시키는 단백질 (0) | 2008.06.02 |
아동의 지능을 증강시키는 모유 (0) | 2008.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