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차 미국 비뇨부인과학회 연례 모임에서 발표된 한 자료에 따르면 항문 괄약근 해부 구조의 손상과 뒤이은 항문실금의 주요 요인이 질식 분만인 것 같다고 한다. 요실금, 항문실금 그리고 골반 기관 탈출증이 여성의 골반저 질환들과 관련된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3가지 문제라고 한다. 골반저 질환을 가진 여자들은 종종 이 세 가지 질환들을 모두 가지고 있다. 미국 리치몬드에 있는 버지지아 커몬웰쓰 대학의 니콜스(Catherine M. Nichols) 박사에 따르면 실금 두 가지가 겹치는 것은 여자들에게는 재앙일 수 있어서 삶의 질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들은 너무 부끄러워하여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니콜스 박사와 연구팀은 제2기보다 심한 골반 기관 탈출증 및/또는 요실금으로 진단된 여자들 51명을 연구에 포함시켰다. 환자들 중 7명은 골반 기관 탈출증만 가지고 있었고, 15명은 요실금만, 29명은 골반 기관 탈출증과 요실금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환자들은 록우드-톰슨(Rockwood-Thompson) 변실금 강도지수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초음파 검사를 받았다. 탈출증은 골반 기관 탈출증 설문 시스템과 다중채널 방광계측기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연구자들은 참여한 여자들 중 63%가 항문실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3.5%는 가스에 대한 실금만 가지고 있었고 39%는 가스, 무른 변, 그리고/또는 딱딱한 변에 대한 실금으로 고통 받고 있었다. 항문 내 초음파 검사로 검사했을 때, 여자들 중 60%는 항문 괄약근 손상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항문실금의 존재는 항문 괄약근 손상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P<.001). 변실금 강도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항문 괄약근 손상의 정도가 증가하였는데, 이 관계에 대한 피어슨 관련 지수값는 0.758이었다(P<.001). 제4기의 골반 기관 탈출증을 가진 환자들은 제1기 골반 기관 탈출증을 가진 환자들보다 항문 괄약근 손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P<.018). 변실금 강도 지수는 골반 기관 탈출증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관련성 지수는 0.581이었다(P<.005). 연구자들은 “수술적 질식 분만과 태어난 영아의 체중이 3500g이 넘는 분만은 모두 항문실금과 항문 괄약근 손상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라고 결론지었다. 연구제목 : Anal Sphincter Injury in Women with Pelvic Organ Prolapse and/or Urinary Incontinence. 출처 : http://www.docguide.com/news/content.nsf/news/8525697700573E1885256DA2004568F2?OpenDocument&c=&count=10&id=48DDE4A73E09A969852568880078C249&abd=yes |
출처 :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
'Medic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와 암의 연관성 (0) | 2007.10.27 |
---|---|
콜레스테롤 강하제의 득과 실 (0) | 2007.10.27 |
백내장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천식 흡입 치료제 (0) | 2007.10.27 |
당뇨질환이 있는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심장 기형의 가능성 높아 (0) | 2007.10.27 |
형제가 전립선암이 있으면 발명 위험이 증가 (0) | 2007.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