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Heath
보톡스를 이용한 발성 장애 치료
장종엽엔에스
2007. 11. 28. 20:06
얼굴 주름살을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보톡스가 발성 장애를 치료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고 미국 미시간 대학 연구진이 밝혔다. 드물게 발생되기는 하지만, 일부 사람의 경우 목소리가 갈라지거나 숨소리가 섞인 듯한 소리를 내는 경련성 발성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연구진은 성대 근육 부위에 보톡스 주사를 놓으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발성 상태가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경련성 발성 장애 현상은 발성 장애 현상 종류 중의 하나로, 뇌에서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부분의 이상으로 체내 특정한 부분의 근육이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움직여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중년 여성에게 일어나는데, 경련성 발성 장애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성대를 지지하는 내전근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 기인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드물게 일어나기는 하지만 외전근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 기인한다. 발성 장애를 가진 사람은 자신감이 결여되고 삶의 질이 저하된다. 영국의 경우, 발성 장애를 가진 사람은 대략 40,000명 정도로 추산되지만 이들은 보통의 경우 다른 질환으로 잘못 진단되거나 아예 질환으로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미시간 대학 연구진은 발성 장애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성대 근육 부위에 보톡스 주사를 놓았는데, 이는 마치 성형을 위하여 주름살이 패여 있는 이마 부위 근육에 보톡스 주사를 실시하는 것과 같다. 보톡스를 이용하여 발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은 아직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장기적으로 보톡스 주사를 통하여 환자의 음성 치료 및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실험 데이터는 축적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평균 51세 정도의 발성 장애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는데, 6번에 걸쳐서 보톡스를 주사하였다. 이들에게 첫 번째 보톡스 주사를 실시한 뒤에 평균적으로 25주가 경과하였을 무렵에 발성 장애가 다시 악화되어 다시 보톡스 주사를 하였다. 그리고 연구진은 이들에게 삶의 질을 판단할 수 있는 설문 조사도 아울러 실행하였다. 이 설문지에는 주사를 맞기 2주 전에, 이들이 가졌던 발성 장애 때문에 사회 생활에 지장을 받았는지 여부와 주사를 맞은 후 이들의 목소리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질문도 포함되었다. 실험 결과, 첫 번째 보톡스 주사를 맞은 뒤에 발성 장애 현상이 좋아지기 시작하였으며 6번의 보톡스 주사가 실시된 뒤에는 목소리가 눈에 띄게 좋아진 것이 발견되었다. 연구진은 이들의 발성 상태를 최고로 100점으로 기준하여서 보았을 때, 첫 번째 보톡스 주사를 맞기 전에는 평균 30점이었으나 주사를 맞은 뒤에는 평균 80점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는 보톡스 주사를 계속 맞으면 그 치료 효과가 경감한다는 이전의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들에게 자신의 목소리를 평가하게 한 결과, 주사를 맞기 전에는 97%가 자신의 목소리가 형편없었다고 생각하였지만, 주사를 맞은 뒤에는 74% 정도가 자신의 목소리가 훌륭하다고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보톡스 주사를 통하여 발성 장애를 치료 받은 뒤에 기분이 좋아지고 신체적 상태가 개선되며, 사회적으로도 좋은 대인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고 밝혔다. 연구진의 이번 연구 결과는 Archives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학술지에 출판되었다. 인용 논문: "Longitudinal Effects of Botox Injections o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RQOL) for Patients With Adductory Spasmodic Dysphonia: Part II", Adam D. Rubin, Walter P. Wodchis, Constance Spak, Paul R. Kileny, Norman D. Hogikyan, Archives of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April 2004, vol.130, pp.415-420. |
BBC News/Health |
출처 :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