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Heath

식이 탄수화물 및 섬유소, 유방암 위험과 관련 없어

장종엽엔에스 2007. 11. 28. 19:34
연구자들은 간호사 건강 연구 시작 시점에 34-59세인 여자 88,678명의 유방암 발생률과 관련하여 유효한 음식 빈도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18년 동안 5차례 식이 섬유, 섭취하는 음식물 중 섬유소가 차지하는 비율, 탄수화물, 당지수, 그리고 당 부하량에 대해 평가를 하였다.

유방암은 1980년-1998년에 4,092명에서 발생하였다. 저자들은 탄수화물 섭취, 당지수와 당 부하량, 총 식이 섬유 섭취량, 유방암 발생률 사이에는 구체적인 관련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섬유소의 양이 가장 적은 20%에 대한 가장 많은 20%에서 유방암 발생에 대한 상대 위험도는 탄수화물에 대해서는 0.97(95% 신뢰구간 : 0.87, 1.08), 당지수에 대해서는 1.08 ((95% 신뢰구간 : 0.97, 1.19), 당부하량에 대해서는 0.99(95% 신뢰구간 : 0.89, 1.10), 섬유소에 대해서는 0.98(95% 신뢰구간 : 0.87, 1.11)이었다.

섬유소 섭취가 가장 적은 10%(하루 10g)에 속한 사람들과 비교하여 가장 많은 0.7%에서 속한 사람들에서 유방암 발생에 대한 상대 위험도는 0.68(95% 신뢰구간 : 0.43, 1.06)이었다. 폐경기 상태와 체질량 지수에 의해 계층화된 분석에서는 명확한 위험 양상을 보여주지 않았다.

중년 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에서 식이 탄수화물, 당지수와 당 부하량, 그리고 유방암 발생률에서 전체적인 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또한 다른 연구에서 발견되었던 섬유소 섭취와 섬유소 종류, 유방암 발생 위험 사이에 전체적으로 관련성이 없음을 확정해 주었다.

저자 : Michelle D. Holmes1 , Simin Liu2,3, Susan E. Hankinson1,3, Graham A. Colditz1,3, David J. Hunter1,3,4 and Walter C. Willett1,3,4
1 Channing Laboratory, Department of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2 Division of Preventive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3 Department of Epidemiology,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4 Department of Nutrition,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인용논문 : Am J Epidemiol 2004; 159:732-739.

출처 :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