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집단 행복감에 상관하는 ′조직 활성도′ 계측 가능한 새로운 웨어러블 센서 개발
장종엽엔에스
2015. 2. 12. 08:35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2-12 |
|
![]() 일본에서 인간 행동 데이터를 취득, 해석하여 조직 생산성에 강하게 상관하는 ′조직 활성도′를 계측할 수 있는 새로운 웨어러블 센서를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Hitachi Hi-technology, 이하 히타치 하이테크)가 개발하였다. 본 제품은 주식회사 히타치 제작소(이하, 히타치)가 개발한 집단의 행복감을 신체 운동의 특징 패턴으로부터 ′행복도′로서 정량화하는 기술을 활용한 것이라고 한다. 행복의 향상은 사회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일본 내각부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하는 나라로서의 행복도 지표를 검토하고 있어 일본 문부과학성이 ′행복 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연구로는 인간의 행복감은 조직의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행복감이나 조직의 활력을 정량화하려면 자기 신고에 근거하는 질문지(앙케트)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기업 조직에 대해서는 경영 시책이나 직장 환경 등이 종업원의 행복감이나 활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정량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히타치 하이테크가 개발한 ′조직 활성도′ 측정 기능을 탑재한 새로운 웨어러블 센서는 인간 행동 데이터를 취득하여 개인의 활성도를 연산한 후 조직에서 집계・평균하는 것으로 ′조직 활성도′의 정량화를 실현한 제품이라고 한다. ′조직 활성도′를 정량화하는 것으로 업무개선이나 생산성 향상 등을 지원할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히타치가 고안한 신체 운동의 특징 패턴으로부터 집단의 행복감을 정량적으로 요구하는 예측 모델을 활용한 것에 의해 실현된 것이라고 한다. 히타치가 고안한 집단의 행복감을 정량적으로 요구하는 예측 모델은 웨어러블 센서로 얻을 수 있던 대량의 인간 행동 데이터의 분석으로 집단 행복감과 강한 상관이 있는 신체 운동의 특징 패턴을 찾아낸 것으로 ′행복도′로서 정량화하였다. 그리고 정량화된 행복감은 그 조직의 생산성에 강한 상관이 있는 것을 밝혀냈다. 히타치 하이테크는 이러한 조건을 이용하여 새로운 웨어러블 센서를 개발하여 기존 객관적인 평가가 곤란함 기업의 경영 시책이나 직장 환경의 유효성을 효율적이면서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용자는 본 제품을 활용한 서비스를 새로운 경영 지원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향후 히타치 하이테크로는 지금까지 전개하고 있는 ′휴먼 빅데이터/클라우드(주 1)의 새로운 솔루션으로서 본 제품을 활용한 서비스를 다양한 분야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히타치는 본 기술을 활용하여 폭넓은 사업 분야에서 고객 기업의 실적 향상이나 지역 주민의 행복 향상을 향한 시책을 지원할 것이라고 한다. 히타치 하이테크가 개발한 새로운 웨어러블 센서의 특징으로는 인간 행동 데이터 취득 기능과 더불어 개인 활성도의 연산 기능을 탑재하였다. 개인 신체 운동의 특징 패턴을 취득하여 개인의 활성도를 연산 후 조직의 복수인으로 집계・평균하는 것으로 ′조직 활성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웨어러블 센서의 액정 화면에는 행동 계속 시간이나 개인의 활성도 트랜드가 표시되어 장착자는 실시간으로 개인의 활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매일 ′조직 활성도′의 변동 추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상에서 제공되어 웹 브라우저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운동 등 센서로 취득된 데이터 일부는 웹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데이터를 Excel 등으로 판독함으로써 조직 생산성 향상에 상관되는 행동 추출이 가능하게 되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연구 개발 매니지먼트, 조직 통합 매니지먼트, 콜 센터・물류 센터・유통 점포 등의 서비스 업무의 생산성 향상, 고객 만족도 향상에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주 1) ′휴먼 빅데이터/클라우드 서비스′ 명찰형 센서에 의해 조직에 있어서의 각자 신체 운동이나 다른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체재 장소나 동선 등을 계측하여 이러한 방대한 인간 행동 데이터와 업무・실적 데이터 등 기존의 빅데이터를 통합 해석하여 업무개선・실적 향상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 <그림 1> ′새로운 웨어러블 센서′ 사진 <그림 2> 집단에 있어서의 신체 운동 계속 시간과 ′행복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