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유연성 전자학 연구에서 거둔 성과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record_no=254753&cont_cd=GT

장종엽엔에스 2015. 2. 5. 21:05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2-05
최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 전자 피부, 센서. 재생에너지 등 여러 분야에서 잠재적 응용 전망이 커짐에 따라 유연기판(Flexible substrate)을 기반한 유연성 전자학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저차원 무기 반도체(inorganic semiconductor, 無機半導體) 나노소재는 그 특수한 형태, 우수한 전기학 및 광학 성능, 양호한 기계 유연성 등의 특징으로 인해 유연성 전자학 분야에서 최적의 소재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최근 중국 과학원 반도체연구소 선궈어전(沈国震) 연구진은 멀티 구조와 기능을 갖춘 무기 반도체 저차원 나노구조 설계에 전통적인 마이크로 전가 가공 공법을 접목시키는 방법을 통해 멀티 구조를 갖춘 유연성 전자, 유연성 광전자 부품(예를 들면 유연성 박막 트랜지스터, 광전식 감지기, 센서 등)을 디자인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유연성 전자학 분야에서 기여가 큰 연구 성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연구진의 관련 연구성과는 중국 국가자연과학기금(프로젝트 번호: 51002059, 91123008, 61377033)의 지속적인 자금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국제 학술지 ‘Angew. Chem. Int. Ed. (2014, 53, 1849)’; ‘Adv. Mater. (2014, 26, 4999; 2011, 23, 771.)’; ‘ACS Nano (2014, 8, 787.; 2011, 5, 6148.; 2011, 5, 2155.)’; ‘Adv. Funct. Mater. (2014, 24, 1840.; 2013, 23, 1202.; 2013, 23, 2681.)’ 등에 게재되었다.

전자부품 시스템의 전체 유연화를 실현하자면 반드시 에너지 축적 단위(energy storage unit)의 유연화가 동반되어야 한다. 이를 감안해 선궈어전(沈国震) 연구진은 오래 전부터 유연성 에너지 축적 부품 연구에 매진했으며 연구를 통해 초박막, 고성능의 유연성 에너지 축적 부품을 디자인하고 제조하는데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유연성 에너지 축적 단위와 유연성 전자, 광전자 부품의 집적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상기 연구 성과들은 여러 차례 ‘Nano Lett. (2012, 12, 3005.)’; ‘Adv. Mater. (2014, 26, 4763.; 2013, 25, 1479.)’; ‘ACS Nano (2013, 7, 5453.; 2011, 5, 8412.)’ 등 국제적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이 중 여러 편의 논문이 표지 논문으로 수록되었으며 13편의 연구 성과가 세계적으로 인용차수가 높은 ESI에 선정되었다.

선궈어전(沈国震) 연구진은 유연성 전자학 분야에서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Chem. Soc. Rev. (2015, 44, 161)’, ‘Adv. Mater. (2014, 26, 4763)’,’Mater. Today (2015, DOI: 10.1016/j.mattod.2015.01.002)’ 등 국제적 학술지의 요청을 받아 관련 연구 성과에 대한 논술을 발표했다.

이 외에도 지난 2014년 8월에 미국 서배너(American Savannah)에서 개최된 “제18차 초격자(Superlattice), 나노구조와 나노부품에 관한 글로벌 대회”에서 국제 전문가들의 추천에 의해 선궈어전(沈国震) 연구원은 ‘청년 과학자 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연령이 40세 이하의 젊은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며 2년을 주기로 수상식이 개최된다. 또한 선궈어전(沈国震) 연구원은 중국 최초로 이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