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유럽연합, 가정에서 노인 자립 생활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 기반 서비스 매핑 결과 발표
장종엽엔에스
2015. 2. 2. 08:33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2-02 |
|
유럽공동연구개발센터(JRC ; Joint Research Center)는 가정에서 노인들의 자립 생활을 위한 14개의 선진 프로젝트들을 조사하고, 사용자 평가 결과 등을 반영한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각 선진 프로젝트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ISISEMD 프로젝트(인지 문제나 치매가 있는 노인분들의 독립적인 생활 및 자기 관리를 위한 지능 시스템) . 대상: 71세 이상 노인분들과 간병인(덴마크, 영국, 그리스, 핀란드) . 서비스: - 노인층 : 미리 알림, 메모리 레인, 두뇌 게임, 영상 통화, 야외 안전 - 비공식적 보호자 : 일정관리, 가정 안전, 야간 움직임 탐지기, 비정상적 행동에 대한 경고, 알림(문, 요리, 화재 등) . 장치 : 터치스크린, GPS, 문 센서, 모바일폰, 웹포털, 전력 모니터 등 . 목적: 인지능력이 부족하거나 치매가 있는 노인분들이 기술적인 시스템을 통해서 가정에서 보다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가를 평가 . 분석 결과: 노인들에게 보다 많은 독립성을 제공, 일상적인 활동에 있어 비공식적 보호자에 대한 의존성 감소, 비공식적 보호자의 시간 및 시간 절감 등 2. ADVANCED TELECARE 프로젝트 . 대상: 2,400명의 사용자 . 서비스: 홈 안전, 원격케어 . 장치: 홈자동화 패키지(자동스위치, 가스센서, 온도센서, 원격 인터콤 기기 등) . 목적: 보다 넓은 범위에서 개발 단계의 검증을 수행 . 분석 결과: 노인들에게 보다 높은 자율성을 제공, 가정에서 넘어지는 경우가 줄어들었고, 가정에서 넘어졌을 때 입원하는 경우가 감소 등 3. PAPERO 프로젝트 . 대상: 자료 없음. . 서비스: 간병인과 더불어 일상생활 중에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반려/보조 역할을 수행 . 장치: 음성 인지, 음성 동조, 얼굴 이미지 인식, 자율적인 이동, 머리 이동, 촉감 센서 등을 가진 로봇으로, 카메라, 초음파 탐지기, 온도 센서, 마이크 등을 포함 . 목적: 치매 환자에 대한 정보 지원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현장 실험을 통해 평가 . 분석 결과: 노인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을 제공, 스스로 보다 많은 활동을 수행 등 4. HAL 프로젝트 . 대상: 150개 기관에 330개의 슈트 . 서비스: 슈트를 통해 착용자에게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 장치: 착용가능한 외골격 구조 - 2개의 로봇 다리, 엑추에이터에 의한 제어 동력 관절, 전자 센서, 컴퓨터 프로세서 . 목적: 슈트를 생산하고 상업화하는데 있어 효과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2개의 연구가 수행(로봇기업의 연구팀에 의해 수행) . 분석 결과: 노인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을 제공, 걷기, 균형잡기, 스피드 등에 있어 신체적 기능이 향상 등 5. SAS 프로젝트 . 대상: 자료 없음. . 서비스: 걷는 패턴 지원 . 장치: 통제 시스템, 모터, 관절 센서 . 목적: 걷기 스코어 및 근육 활동에 대한 효과를 분석 . 분석 결과: 노인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을 제공, 걷는 속도 상승 등 6. HOMEKIT 프로젝트 . 대상: 1978년부터 판매, 15백만 가정에서 구매 . 서비스: 2007년 이후 5백만 구매 . 장치: 가정 조명, 가전기기 통제, 계획에 따른 홈 자동화, 컴퓨터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조명, 가전기기 원격제어 . 목적: 스마트홈이 보다 나은 헬스 기능을 유지케 하는지와 노인분들이 보다 독립적으로 살 수 있도록 돕는지를 평가 . 분석 결과: 노인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을 제공, 육체적/인지적 상태 관리 능력 향상 등 7. TAIWAN 원격헬스 프로젝트 . 대상: 70여 개의 기관들이 700,000만번 이상 활용 . 서비스: - 가정 케어: 화상회의 생리학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가정을 방문/케어 - 커뮤니티 케어: 헬스 프로모션 진료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커뮤니티 케어 . 장치: 장기 케어에 대한 강력한 수료를 해결하기 위해 텔레케어 서비스를 활용(대만 복지부) . 분석 결과: 가정/커뮤니티 모델의 경우 긴급상황에 대한 적절한 의료 대응이 촉진, 치료 품질 향상, 의료 안정성 향상 등 8. KAISER 원격헬스 프로젝트 . 대상: 9백만명 회원, 8개 미국 지역. 8개 미국 지역 지원 . 서비스: 홈 헬스 간호를 위한 비디오 방문, 심폐 상황 관리 및 평가(민간 헬스케어 기업으로 구성된 의료 센터를 통해 평가) . 분석 결과: 장기 환자 방문 감소, 치료 품질 향상 등 9. WSD 원격헬스 프로젝트 . 대상: 3,230 환자, 179명 일반 참가자 . 서비스: 원격 건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 목적: 원격케어 및 원격헬스 품질 및 비용-효과성 평가(미국 복지부 담당) . 분석 결과: 기관 케어 활용 감소, 사망률 감소 등 10. TELBIL 프로젝트 . 대상: 20개 헬스케어 센터의 78,000명 . 서비스: 만성질환 환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 . 장치 : 핸드폰, PDA, 클라우드를 통한 모바일 다사용자 원격계측기 장치 . 목적: 만성질환 환자의 병원 입원이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감소되는지를 평가 . 분석 결과: 헬스케어 자원 활용의 감소, 관련 비용 감소 등 11. ACTION 프로젝트 . 대상: 6개의 스웨덴 지역의 125개 가정 . 서비스: 멀티미디어 간호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간호 교육 프로그램, 육체적/인지적 e교육 등 . 장치: PC, 화상시스템 . 목적: 솔루션의 효과성 검증 . 분석 결과: 비공식적 간병인들이 업무 및 책임에 있어 독립성을 보장, 케어 품질 향상 등 12. WEST LOTHIAN 원격케어 프로젝트 . 대상: 1,700명 . 서비스: 원격케어 . 장치: 홈 경고 콘설, 연기 감지기, 온도 센서 등 . 목적: 삶의 질 및 투자 효과 분석 . 분석 결과: 보다 높은 독립성 확보, 안전성 증가 등 13. SCOTTISH 원격케어 프로젝트 . 대상: 29,117명 . 서비스: 원격케어 . 장치: 이동 감지기, 경보 환경 센서 등 . 목적: 8개의 세부 목표에 대한 달성 정도를 평가 . 분석 결과: 보다 높은 독립성 확보 등 14. BRAIN AGE 프로젝트 . 대상: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9개의 두뇌 훈련 게임 . 장치: 콘솔 및 게임 . 목적: 게임을 통해 노인들의 건강 상태 평가 . 분석 결과: 인지적 기능 향상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