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Energy

중국 풍력발전 현황 및 향후 전망 분석

장종엽엔에스 2015. 1. 6. 10:42

지난 2013년도에 중국 정부는 재생가능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하는 전력 및 환경 친화적인 전력에 대한 가격을 완벽히 제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연구, 제정하였으며 부분적인 지역 전력 생산 업체들의 그리드에 전송하는 전기 가격을 낮췄으며, 8개 유형의 판매 전기 가격을 3개 유형의 전기 가격으로 조정하였다.

2014년 1월 1일부터 중국 정부는 전기 분해 알루미늄 생산 업체에서 사용한 전기에 대해 단계별 가격 정책을 실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오는 2015년 말 전에 중국 정부는 주민용 피크 전력 가격 정책을 실행하게 될 전망이다. 그 외, 중국 정부는 전기를 직접 구입하는 정책을 연구, 제정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 사용량이 큰 업체들이 전기를 직접 구입할 수 있는 경쟁적인 전기 시장을 형성하고 중국 전력 체제 개혁을 대폭 강화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풍력발전 산업은 아직 완전히 저조기를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지만 총체적으로 양호한 발전 트렌드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2~3년 내에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그리드에 전송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풍력발전 산업의 신속한 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된다. 중국 정부는 전력 시스템 개혁을 적극 추진하고,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우선적으로 전액 수구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생산한 전력 수구 할당제(Quota system)를 실행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에너지국 관련 담당자의 설명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향후 2~3년 내에 중국 내 풍력발전을 포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풍력발전 산업의 효율적인 성장을 추진하고 전력 시스템 개혁을 적극 추진하고 재생가능 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에 대한 할당제를 구체화하고 특히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전액 수구하는 정책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지난 2013년 9월 말까지 풍력발전을 통해 국가 그리드에 전력을 전송한 중국의 풍력발전량은 6,426만 kW 규모에 달하여 전년 동기 대비 21.5% 증가하여 중국의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 사용은 양호한 트렌드를 나타내었다. 지난 2013년 1~9월 기간 국가 그리드에 새롭게 전송된 풍력발전량은 790만kW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력발전량은 931억kW.h에 달하여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년 1~9월 기간 중국의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사용한 시간 수는 누계로 1,514시간에 달하여 전년 동기 대비 130시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력발전 운행 지표(指標)는 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제정한 ‘국가 풍력발전 산업 성장 계획’ 목표를 보면, 오는 2015년에 중국의 풍력발전량은 1억kW 규모에 달하고, 오는 2020년에 2억kW 규모에 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며, 80% 이상의 풍력발전이 중국의 둥베이(東北), 화베이(華北), 시베이(西北) 3대 지역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 둥베이, 화베이, 시베이 3대 지역에 집중된 풍력발전량 중에서 20%의 풍력발전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풍력발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 전체 발전량 중에서 풍력발전량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 수준밖에 되지 않고 있으며 중국의 중부(中部)와 동부(東部) 지역 피킹 자원(Peaking resources)이 비교적 풍부하여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흡수할 수 있는 잠재력은 아직까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