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일본, 업무용 청소 로봇 시장 현황

장종엽엔에스 2014. 12. 22. 09:59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4-12-19
1. 시장 배경과 개요

업무용 청소 로봇이 대상으로 하는 시장은 현재 수작업 중심으로, 대체로 작업 효율은 낮고 작업 환경도 좋지 않다. 현재는 값싼 노동력에 의존하는 부분이 큰 만큼 저 출산 고령화가 진행되면 노동력 자체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업무용 청소 로봇은 일손 대안으로 사용이 되는 것은 틀림 없다. 업무용 청소 로봇 전체가 청소 능력(성능)과 비용 이점의 명확화가 공통적으로 요구된다. 사람과 동등 이상의 작업과 사람 이상의 효율과 더불어 현장에서의 편리한 사용도 중요하다. 또한 용도와 장소에 따라 작업 요구가 다양해지고, 거기에 개별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제품 구색도 증가해 시장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생각한다.

2013년도까지 참가 기업도 제품 수도 적고, 현재에도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고 있는 수준에서 시장 구축을 위해 그 출발 선에 불과하다. 우선 지금 있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시장에 보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2014 년도에 들어 업무용 청소 로봇은 새로운 시장 진출 또는 신규 참가 표명 기업이 잇따라, 시장이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단, 2014 년도의 국내 업무용 청소 로봇 시장 규모 (메이커 출하 수량 기준)은는 875대로 전망되며, 시장은 아직 작은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2. 주목할 만한 동향 ~ 유형별 로봇 시장 동향

현재 제품으로 외판되는 업무용 청소 로봇의 용도는 바닥과 수영장, 태양광 패널, 굴뚝 소각로 벽, 업무용 에어컨 등 청소 및 청소, 세척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바닥 청소 로봇은 새로운 시장 진출이 잇따르면서 가장 활성화되고 있는 시장이다. 2014 년도에 제품이 모이는 것으로, 작업 대상이나 청소 내용에 따라 메이커 각 사의 영업 제안을 기대할 수 2015 년 이후에는 본격적인 수요 개척이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태양광 패널 청소 로봇은 2014 년도부터 신규 진입을 볼 수 있고 공공 • 산업용 태양광 발전소에서의 본격적인 수요 개척이 진행된다. 반면에, FIT의 재검토가 검토되고 있으며, 발전소 신설 감소에 의한 마이너스 요인도 있다. 굴뚝 소각로 벽 청소 로봇은 제품화되고 있지만 최근 출하 실적은 없다. 제품 가격이 높고, 사용 빈도와 사용자가 한정되기 때문에 새로운 수요 개척이 어렵다. 수영장 청소 로봇은 이미 시설에는 도입되고 있는 실정으로, 현재의 기능 상태에 새로운 수요 개척이 어렵다. 교체 수요에 의존하고 있지만, 제품에 새로운 기능 추가에 의한 수요 개척의 가능성도 있다. 업무용 에어컨 청소 로봇은 최근 출하되지 않는다. 현재 제품 개선을 진행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종에 따른 수요 개척이 기대된다. 로봇 청소 효과에 주목하는 주요 체인 기업에서 채용되면 단번에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3. 향후 전망

업무용 청소 로봇은 사람의 작업을 대체하고 있는 반면, 사람의 일을 빼앗는 측면이 있다. 비용 절감의 수단이 되지만, 사용법에 따라서는 비용을 상승시킬 가능성도 있다. 사람 이상 청소 효과가 가치로 인정되면 비용 상승도 허용되지만 아직 거기까지의 평가는 얻고 있지 않다. 2015 년 이후에는 국내 경제 상황에 크게 좌우된다고 생각한다. 단, 국가에 의한 서비스 로봇 개발 촉진 방안과 2020 년 도쿄 올림픽 개최를 위해 서비스 로봇의 수요가 높아지고 업무용 청소 로봇도 수량, 금액 모두 전년 대비 2 자리 수 증가를 계속 할 것으로 예측한다. 결코 큰 시장 규모는 기대할 수 없지만 견조한 제품의 확대와 용도의 확대라는 미래를 향한 가능성은 존재한다. 2020 년도 국내 업무용 청소 로봇 시장 규모 (메이커 출하 수량 기준)는 1,850 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