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리튬 이온배터리의 전극 재료 표면 개질 : 상태와 트렌드
장종엽엔에스
2014. 12. 15. 09:08
KISTI 미리안 2014-12-12 |
|
1. 분석자 서문 리튬 이온전지는 높은 에너지밀도와 출력 밀도로 인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전력 저장용 등 중•대형화도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리튬 이온전지의 전극과 전해액 간의 부반응을 억제해 충•방전 수명을 향상시키거나, 산소 탈리를 막아 안전성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전극 활물질의 부족한 전도도를 향상시켜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목적 등으로 전극의 표면 개질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층상 구조, 스피넬 구조, 올리빈 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양극 활물질과 카본, 실리콘 및 Li4Ti5O12 등 대표적인 음극 활물질 전반에 걸쳐 다양한 표면 개질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코팅 방법을 통해 표면의 전도도, 열적 안정성, 구조적 안정성 향상에 이르게 되는 코팅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 있어 리튬 이온전지의 표면 개질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1 2. 목차 1. 서론 2. 양극 2.1. 층상 구조 재료 2.2. Co rich 층상 구조 복합물 2.3. Ni rich 층상 구조 복합물 2.4. Co 없는 층상 구조 복합물 2.5. LiMnO2, MnO2 2.6. LiMn2O4 스피넬 2.7. LiMn1.5Ni0.5O4 스피넬 2.8. LiFePO4 올리빈 2.9. 다른 인산염계 전극 3. 음극 3.1. 카본 3.2. 스피넬 Li4Ti5O12 3.3. 실리콘 3.4. SnO2 3.5. 다른 금속산화물 4. 결론 References 3. 원문정보 A. Mauger, C. Julien/Surface modifications of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status and trends /Ionics 2014 20: 751-787/2014.05. ※ 이 자료의 분석은 현대자동차의 김경수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