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Heath

수술의 성공을 도와주는 가상의 간

장종엽엔에스 2010. 1. 20. 12:02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1-14
유럽연구자들은 간암이나 간경변증과 같은 병을 환자들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가상의 간을 개발하였다. 초기의 연구는 EUREKA 프로젝트인 Odysseus 범위 내에서 이루어졌다. EUREKA는 국제적이며, 시장중심적인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가상의 간은 EU의 지원을 받고 있는 PASSPORT(`Patient specific simulation and preoperative realistic training for liver surgery`)프로젝트에 의해서 한단계 더 개발되고 있다. PASSPORT는 ICT에서 360만 유로를 지원받고 있다.

간경변증과 간암으로 해마다 유럽에서는 9만명이 사망한다. 수술이 이러한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주요한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것의 목적은 환자가 살 수 있도록 충분히 건강한 간세포를 가질 수 있도록 병든 세포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현재, 의사들은 의학적인 영상을 사용하여 수술 중에 간세포가 충분히 건강한지를 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2D 영상을 해석하는 것은 매우 힘이 들기 때문에, 마치 현장에 있지 않는 다른 전문가들과 함께 조사하고 해석하는 것과 같다.

Odysseus프로젝트에서 환자들의 간을 3D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다른 위치에 있는 전문의들과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환자들의 간의 모양과 기관에서 혈관의 위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의사들에게 제공해주었다. 이러한 상세한 정보가 많은 환자들이 수술을 받는 것에 두려움이 없도록 해주어야 하며, 의사들이 수술을 좀더 잘 계획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한다.

‘3D 모델링 때문에, 간수술의 미래는 간 혈관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더 정밀해지게 되었다.’ 라고 프랑스의 IRCAD(Institut de Recherche contre les Cancers de l`Appareil Digestif)의 Luc Soler교수가 말했다. 의사들에게 중요한 새로운 진단도구를 제공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 소프트웨어는 간을 세분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해주고 있다. 지금까지, 간수술은 1957년에 개발된 간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다.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는 실제 환자들의 50%는 예전 모델과는 매우 다른 간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주었다.

실제로, 이 시스템은 모든 기술들이 종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가상환자모델링툴(Virtual Patient Modelling tools)은 수술전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진단 및 가상계획 소프트웨어(Diagnosis and Virtual Planning software)는 멀티미디어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3D 영상내에서 보여질 수 있었다. 두가지 시뮬레이터는 전문의들이 환자들에게 직접 수술하기 전에 가상의 간을 가지고 계획된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시뮬레이터는 간세포의 질감과 저항을 모방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시뮬레이터 영상과 수술사진과의 차이점을 이야기하는 것은 어렵다고 평가했다. 시뮬레이터는 또한 수련의들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중요하게도, Argonaute라는 통신시스템은 다른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이 동시에 영상을 보면서 소통할 수 있고, 조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랑스 독일, 노르웨이에 있는 프로젝트 파트너들은 이미 시장에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기 위하여 연구하고 있으며, 병원에서 새로운 시스템을 시험하고 있다. Odysseus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2008년 6월에 PASSPORT 프로젝트를 통하여 지속되고 있다. PASSPORT는 생물학적, 기계적, 역학적 및 외관적인 정보를 Odysseus에 의해 개발한 기하학적 모델에 추가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 파트너들은 이미 소프트웨어를 개선하였으며 인터넷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20100112-1.jpg
출처 : http://cordis.europa.eu/fetch?CALLER=EN_NEWS&ACTION=D&SESSION=&RCN=3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