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탄소나노튜브로 만들어진 나노-올빼미
장종엽엔에스
2010. 1. 5. 23:29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1-01 | ||||||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기 어려운 이 이미지에 대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들이 있다. 나노-올빼미 이미지는 인간 머리카락 직경의 약 2배일 정도로 매우 작다. 물론 나노-올빼미 이미지는 훨씬 더 작게도 만들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라이스 대학에서 개발한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카펫(carpet)에서 성장했다. 각 나노튜브는 머리카락의 직경보다 약 50,000배 더 작다. 그 후에 연구진은 마우스를 사용해서 올빼미를 그렸고 이 이미지를 토대로 전자빔을 조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패턴을 새길 수 있었다. 연구진은 계산을 통해서 나노-올빼미가 약 천만 개 이상의 나노튜브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나열하면, 우선 10 나노미터 두께의 알루미나 기판을 가진 실리콘 웨이퍼에 액체 아크릴 수지(poly(methyl methacrylate))를 아주 얇게 코팅하였다. 그 후에 연구진은 액체를 결정화하기 위해서 2 분 동안 180℃에서 이 물질을 구웠다. 그리고 컴퓨터로 만들어진 이미지대로 아크릴 수지 속에 패턴을 전자빔을 사용하여 새겼다. 연구진은 전자빔에 노출된 아크릴 수지를 세정하기 위해서 현상액(developer)을 사용했다. 그 후에 5 나노미터의 철 촉매 박막을 증착시켰고 나노-올빼미 패턴 외부의 촉매를 제거하기 위해서 아세톤 용액을 사용했다. 그런 다음 연구진은 이것을 반응기에 넣고 약 15분 동안 카펫을 성장시켰다. 나노-올빼미는 육안으로 보면 거의 점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을 에이커 당 30,000개의 옥수수가 심겨져 있는 밭과 비교해 보면, 나노-올빼미는 350 에이커의 옥수수 밭에 해당한다고 연구진은 말했다. 첫 번째 나노-올빼미는 Jun Yao, Doug Natelson 그리고 Lin Zhong에 의해서 디자인되었고 Alvarez에 의해서 실현되었다. 그림. 연구진이 만든 나노-올빼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