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Heath

노인들의 기억력 향상 훈련

장종엽엔에스 2007. 10. 28. 11:39
Wake Forest 대학과 Washington 대학이 개발한 새로운 기억력 훈련 기술을 통해 최근의 사건과 정보에 대한 노인들의 기억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것은 기억력 훈련 과정 중의 지연 시간 간격(delay intervals)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접근 방법으로서, 노인들이 지연 시간이 상당히 길어진 정보에 대해서도 성공적으로 기억해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9월호에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평균 연령 73세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7일 동안 하루 45분 정도 실시된 훈련을 통해 기억력 과제(task)가 14배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훈련 기간 동안, 노인들에게 단어 리스트를 한 번에 하나씩 보여주었다. 리스트에 적힌 단어들 가운데 일부는 리스트에서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면서 반복되었다. 훈련에 참여한 노인들은 리스트에 적혀 졌던 단어들을 기억해야만 했다.
이 기억력 훈련은 단일의 기억력 과제를 통해 특수한 기억 방법을 가르치는 것보다 전체적인 기억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가지 기억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들이 인지 과정의 향상보다는 기억 기법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Wake Forest 대학의 Janine Jennings는 지적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기억이라는 것이 두 가지 과정, 즉 친숙함(familiarity)과 같은 자동 과정(automatic process)과 회고(recollection)라고 하는 의식적 통제 과정(consciously controlled process),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기억력 훈련 기술의 효능을 시험한 것이라고, Jennings는 말하였다.

그 예로서 자동 과정의 경우 우리가 어떤 사람을 만났을 때 이 사람이 친숙한 사람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회고의 과정을 통해 왜 친밀한 사람이며, 이 사람을 가장 최근에 만난 것이 언제인지 같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다.

새로운 기억력 훈련 기술의 목적은 후자인 회고 과정을 강화시키는 데 있다. 실험실 내에서 이 같은 훈련 기술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앞으로 과제는 실험실을 벗어난 훈련 장소에서도 훈련이 효과를 발휘하며, 노인들의 일상 기억 기능에 도움이 될 것인지 시험하는 일이다.

노화와 관련된 기억력 감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familydoctor.org/healthfacts/124/를 통해 볼 수 있다.

출처 :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