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07

석유시추장비에서부터 농장에까지 보다 많은 국가들의 일터에서 전례없이 현재 로봇노동자들을 환영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하겠다. 로봇노동자들이 환영받고 있는 원인에는 각 기업들이 이들을 고용하는데 보다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미국의 새로운 대통령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트렌드가 다소 기이한 현상이라 볼 수 있겠는데, 비즈니스적 자세와 더불어 미국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포퓰리즘을 표방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무수히 많은 기계들이 중국에서 만들어질 것이라는 사실에 다툴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 하겠다.
로봇들은 자동차와 소비재 가전들과 같은 복잡한 제품들과 한데 어우러져 오랜 시간의 기록들을 지니고 있다 하겠다. 이들의 역할이 공장에서 사용되는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이제는 보다 추정이 불가능한 형태로 사용이 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일례로 블룸버그통신의 보고서에 의하면 석유 시추장소들이 점진적으로 자동화되어가고 있음에 따라 로봇들이 무거운 파이프나 드릴과 같은 장비들을 처리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오일 기업의 말을 인용하자면 이전에는 약 20명의 직원들이 필요했던 시추작업에 5명 가량의 직원만 필요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낫다.
[출처: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7-01-24/robots-are-taking-over-oil-rigs-as-roughnecks-become-expendable]
일반 노동자들의 임금이 상승하는 요인으로 인해 일부 농장주들은 로봇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신선과일이나 채소들과 같은 작물들을 재배하기에 이르렀으며, 포브스나 블룸버그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특정 기기들이 농작물을 수거하는데 활용되거나 모종을 얇게 처리하는 작업들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기들은 초기 높은 투자비용에도 불구하고 최저임금에 대한 수요가 없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그 도입이 점차 확산되어 광산업을 비롯해 건설작업장에서도 로봇의 도움을 요구하는 손길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변화의 물결을 살펴볼 때, 무수히 많은 직종들이 위기에 처해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겠는데, 다수의 전통적인 직업군들이 로봇으로 인해 사라지게 될 수 있을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보고서에 의해 분석된 내용에 의하면 로봇들이 대다수 일자리에 자리를 잡기까지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자동화 로봇들이 어디에서부터 제조되고 만들어졌는지를 우선적으로 걱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뉴욕타임즈 신문에 Farhad Manjoo씨가 언급한 내용처럼 미국에서 자동화된 직무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다수의 기기들이 중국에서 건너오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은 아직까지 상업화된 로봇들을 건설하는데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로봇의 군대를 구축하는데 매우 분주한 상황이라고 한다.
Manjoo씨는 트럼프 대통령이 산업용 로봇을 자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작업을 잘 수행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자국 내 일자리 증가를 추진하기 위한 열망을 실현하기 위한 작업들과 상충될 수 있다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 하겠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비즈니스 업체들을 돕기 위한 그의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로봇의 힘을 빌려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국 내 노동자들을 지켜내기 위해서는 이민자들을 제제하는 벽 외에 다른 무언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정부의 인터넷 통제 회피를 위한 가상사설망 집중단속 (0) | 2017.02.15 |
---|---|
발열 없이 전자기 에너지를 흡수하는 신소재 개발 (0) | 2017.02.15 |
금속 수소의 존재를 실제로 입증한 최초의 연구결과 (0) | 2017.02.15 |
인공지능 연구분야에 동참하여 유수의 기업들과 공조체계 구축하는 애플 (0) | 2017.02.15 |
물류창고에 섬세한 제품선별이 가능한 로봇 팔 도입한 Ocado (0) | 2017.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