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실험실의 크기가 크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장종엽엔에스 2015. 2. 12. 08:14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2-12
최근 학술지에 발표되기 전에 논문을 발표하는 <Peer J PrePrints>에 발표된 논문에서 실험실의 규모는 이상적으로 약 10명에서 15명 정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좀 더 많은 대학원생과 박사후 연구원을 규모 이상으로 투입하는 경우에 높은 영향력을 갖기 어려울 수 있다고 이번 연구는 주장했다.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부가적인 인원들은 수석연구자(PI)보다 훨씬 생산성이 낮게 된다. 영국 워릭대학 (University of Warwick)의 미생물학 실험실을 운영하는 마크 팔렌 (Mark Pallen)은 “모든 것이 PI에 달렸다는 것은 흥미로운 결과이다!”라고 트위트를 했다. 하지만 미국 시애틀의 워싱턴 대학 (University of Washington)의 유전학자이면서 박사후 연구원인 제시카 총(Jessica Chong)은 “이상한 분석이다. 우리는 PI가 다른 실험실 구성원보다 좀 더 많은 논문을 발표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런데 PI는 모든 논문에 저자로 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의 서섹스 대학의 유전학자인 아담 에이레-워커 (Adam Eyre-Walker)와 그의 동료들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영국에서 생명과학에서 398명의 PI를 대상으로 연구했으며 지난 5년 동안 논문의 숫자를 발표한 그룹의 규모를 비교했다. 평균적으로 이 연구의 대상이 된 PI들은 실험실에 여섯 명의 다른 연구자를 갖고 있었지만 그 숫자는 0에서 30명 사이었다. 저자들은 지난 5년 동안 1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PI의 이유를 계산했으며 각 실험실의 부가적 인원이 2개의 논문 이하로 생산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계산했다. 좀 더 자세히 조사해보면 각 박사후 연구원들은 3.5편의 논문을 생산했으며 각 박사과정 학생은 1개 논문 이상에 기여했다. 또는 팔렌이 트위터에서 주장한 바처럼 “PI는 5명 이상은 다른 연구그룹보다 더 생산적이었으며 각 박사후 연구원은 3명의 박사과정 학생의 가치와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인용지수와 영향력 지수가 분석에 부가되었을 때 실험실에서 부가 인원의 중요성은 그 인원이 10~15명에 도달하게 되면 시들어지게 된다. 저자들은 대학과 다른 연구소들은 연구비 지원결정에서 이러한 경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결론내렸다. 이들은 논문에서 “박사후 연구원이나 박사연구원을 채용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영구적인 교수를 좀 더 채용하는 데 투자하는 것이 더 생산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네이처>지와의 인터뷰에서 팔렌은 이 논문 중에서 일부는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박사후 연구원은 확실히 박사과정 연구원들보다 더 생물학 분야에서 좀 더 생산적이다. 그리고 결국 학문적인 경력을 시작하자마자 프로젝트 연구비를 받는 것이 좋은 것이” 박사후 연구원을 채용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하지만 팔렌은 또한 그는 10에서 15명의 구성원은 영향을 주는데 있어서 이상적인 실험실 규모라는 주장에 대해서 반신반의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에이레-워커는 왜 이러한 규모에서 영향력이 극대화되는지에 대해서 확실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와 팔렌은 이러한 분석은 이상적인 실험실 규모에 대해서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 충분히 큰 데이터 사이즈를 갖추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트위터에 대한 일부 비평가들은 이번 연구에 사용된 통계방법에 문제를 제기했다. 영국 에딘버러 대학 (University of Edinburgh)에서 컴퓨터 생물학을 연구하고 있는 벤 무어 (Ben Moore)는 “좀 더 조심스러운 해석”을 요구했다. 그리고 연관되는 실험실 규모와 논문발표수는 이번 데이터에 거의 들어맞는다. 에이레-워커는 이러한 통계에 대한 비판의 일부는 도움이 되고 있으며 규모가 비슷한 실험실들 사이의 생산성에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했다. 하지만 에이레-워커 (한 명의 박사후 연구원과 두 명의 박사연구원을 채용하고 있다)는 주요 결론을 지지하고 있다: 즉, PI는 실험실의 생산성에 주요한 추동력이 된다는 점이다. 그는 “사람들은 PI가 자신이 기여했는지 여부를 떠나서 모든 논문에 이름을 넣는 사람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하지만 영국에서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소규모이며 PI는 실험실에서 일어나는 연구에 천재적으로 기여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한다”고 말했다.

출처: <네이처> 2015년 2월 8일 (Nature 518, 141 (12 February 2015) doi:10.1038/518141f)
원문참조:
Cook, I., Grange, S. & Eyre-Walker, A. PeerJ Pre. 3, e812v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