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1-30 |
|
가트너 그룹에서는 2020년 기준 2천 5백만대 이상의 커넥티드 차량이 새로운 차량 내 정보기술 서비스와 자동화된 운전 기능을 장착하게 될 것이라고 연구보고서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향후 5년 동안 이와 같은 형태의 기능을 탑재한 차량들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가운데, 커넥티드 차량은 사물 인터넷의 가장 큰 중심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제시한다. 가트너 그룹은 2015년을 기준으로 49억 개의 커넥티드 사물들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수치는 2014년보다 30퍼센트 이상 증가한 것이며, 2020년에는 거의 250억 개에 달할 것이라고 말한다. 커넥티드 차량은 이미 현실화되고 있으며, 차량 내 무선 연결기술은 기존의 명품모델에서 프리미엄 모델로 확장되고 있으며, 고가 차량에서 중급모델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차량 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비증가와 새로운 콘텐츠 창출기능은 더욱 고도화된 인포테이먼트 시스템의 개발을 가능하도록 만들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가속기, 디스플레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새로운 기회들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가트너 관계자는 말한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모바일러티와 차량 사용에 대한 개념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가능하게 만들고, 차량소유가 아닌 새로운 방식의 탄생을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가능하도록 만들 전망이다. 가트너 그룹은 전 세계 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차량 다섯 대 중 한 대에 2020년까지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설치될 전망이고, 이를 포함한다면 커넥티드 차량의 숫자는 2천 5백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차량 연결성 기능의 확대는 텔레매틱스, 자동화된 운전, 인포테이먼트, 모바일 서비스 전망에 걸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가트너 그룹은 사물 인터넷 관점에서 이를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한다. 첫째, 2020년경 커넥티드 주방은 음식과 음료수 산업에 있어서 15퍼센트 이상의 절감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으로 여겨지고, 특히 빅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다양한 각광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커넥티드 주방은 기타 사물 인터넷 사용 사례나 디지털 비즈니스 기회에 비하여 사물 인터넷 가치사슬에 있어서 상대적인 주목을 덜 받은 것이 사실이지만, 커넥티드 주방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이슈들을 알리는 것에 더하여, 소매업, 헬스케어, 보험업 전반에 걸쳐서 커다란 이익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커넥티드 주방은 식품 산업 공급사슬과 리테일 푸드 서비스 산업의 다양한 단계에서 디지털 비즈니스 기회들을 만들어낼 것으로 전망된다고 가트너 관계자는 말하고 있는데, 주방의 다양한 부분과 관련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재고 데이터들이 쇼핑 리스트들에 대한 자동화된 산출과 주문을 가능하게 만들면서, 스트리밍화되고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가능하게 만드는 동시에 최적화된 공급사슬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고 언급한다. 둘째, 2018년을 기준으로 시장 지배적인 사물 인터넷 플랫폼은 등장하지 않을 전망이다. IT 리더들은 여러 공급자로부터 솔루션의 최적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마다 독자적인 사물 인터넷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일관성 있는 비즈니스와 기술 모델이 아직까지는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표준 자체도 아직까지는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충분히 성숙되어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대다수의 사물 인터넷 프로젝트들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통하여 사물 인터넷에 있어서 지배적인 기술 서비스 공급자의 야기되고 있는 복합적인 부분들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가능하도록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을 위한 여러 표준들과 생태 시스템은 여전히 개발 중에 있고, 사물 인터넷과 생태계 관련 벤더들은 기존 사물 인터넷 프로젝트의 라이프타임에 있어서 실패를 경험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기업의 CIO들은 자신들의 주요한 시스템 통합역할들이 더 미래지향적인 프로젝트가 되기 위한 전략적인 방향으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는데, 해당 프로젝트가 여러 해 동안 해당 분야에서 포함되어야 하는 인프라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에 있어서 보다 분명한 것은 게이트웨이 기반의 아키텍처가 향후 사물 인터넷 프로젝트에 있어서 핵심적인 접근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자 자기조립을 이용한 3D 트랜지스터 (0) | 2015.02.02 |
---|---|
유럽연합, 가정에서 노인 자립 생활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 기반 서비스 매핑 결과 발표 (0) | 2015.02.02 |
미 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보안을 위한 가이드 발표 (0) | 2015.01.30 |
일본, 제조 산업에 공헌하는 공업로와 관련 기기 동향 (0) | 2015.01.30 |
안전하고 빠른 통신을 위한 마이크로링 (0) |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