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1-05 |
|
2014년 12월 19일 1:04 PM에 버몬트 양키(Vermont Yankee) 원자력발전소가 영구 가동 중단에 들어갔으나 뉴잉글랜드(New England) 전력망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뉴잉글랜드 전역의 발전소들이 남부 버몬트의 600 MW급 원자력발전소가 공급하던 전기를 대체한 것이다. 또한 이 지역의 전력망도 개선되어 송전이 향상되었으며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것도 이에 기여했다. 지역 전력 시스템인 ISO 뉴잉글랜드를 대변하는 마르시아 브롬버그(Marcia Blomberg)는 2012년에 버몬트 양키가 전력을 공급하는 지역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해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고 말했다. 버몬트 양키의 원자로는 수 개월 동안 서서히 출력을 저하시켜 나가는 원자로운전인 “코스트다운(coastdown)”에 들어가 있었으며 지역에 대한 전기 공급도 점진적으로 줄이고 있었다. 12월 19일 오전 몇 시간 동안 출력을 계속 줄여 영발전에 들어갈 때 출력은 74%로 운전되고 있었다. “시원섭섭한 날”이라고 버몬트 양키를 소유한 엔터지(Entergy Corp.)사의 마티 콘(Marty Cohn) 대변인이 말했으며, 발전소의 모든 직원들이 맡은 바 임무에 집중했지만 이것은 마지막이며 재가동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발전소의 운영이 불확실해진 것은 2010년부터로 버몬트 의원들이 폐쇄를 시도했을 때였다. 버몬트 양키의 운전 허가는 2032년까지였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엔터지는 재정적 이유로 폐쇄를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버몬트 양키 해체를 주도하고 있는 에터지 임원 바렛 그린(Barrett Green)은 에너지 시장의 주요 변화가 발전소 운영에 계속해서 너무 많은 비용이 소요되도록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뉴잉글랜드가 발전을 위한 제한된 천연가스 공급에 의존하고 있어 올 겨울 전기료 급등을 가져왔음에도 엔터지의 전략은 단기 시장 움직임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우리는 장기적인 전망을 보고 있다. 셰일가스 개발로 천연가스 가격은 기본적으로 미국 에너지 기반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탄소 제한을 위한 움직임도 예상한 것처럼 효과적이거나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2013년 뉴잉글랜드의 원자로 5기가 지역 전기 수요의 1/3을 충당했으며 전출력 운전되는 버몬트 양키 원자력발전소 하나가 50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했다. 버몬트 양키가 가동을 중단함에 따라 뉴잉글랜드에 남게 되는 원자로는 코네티컷 워터포드(Waterford)의 밀스톤(Millstone) 2, 3호기와 플라이마우스(Plymouth)의 필그림(Pilgrim), 뉴햄프셔 시브룩(Seabrook)의 시브룩 발전소 등 4기다. 지역주민들은 버몬트, 뉴햄프셔, 매사추세츠 등 3개 주에서 최고 600명을 고용하는 버몬트 양키 원자력발전소 폐쇄에 대해 양분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발전소 직원의 절반은 2015년 1월까지 정리해고되거나 근무지를 이동하게 되고 발전소의 방사성 핵연료를 일시적으로 파기하거나 안정화시키기 위한 소수의 인원이 호출에 따라 일하게 될 것이다. 블롬버그는 이 원자력발전소가 지금까지 총 32,000MW의 전기를 지역에 공급했다고 말했다. 뉴잉글랜드의 겨울에는 전기 수요가 감소하고 여름에는 최고치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12월 19일 전기수요는 약 18,000MW로 추정된다. 하지만 블롬버그는 뉴잉글랜드의 전력 시스템이 더 이상의 발전소 가동이 중단되는 상황을 감당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향후에는 지역에 천연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발전소를 상실하는 상황을 우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Power, E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움직임, 소리 등에서 에너지를 수확하는 새로운 기술 (0) | 2015.01.05 |
---|---|
태양전지 효율성 향상 기술 개발 (0) | 2015.01.05 |
미국 내 태양발전량 목표와 관련한 새로운 보고서 (0) | 2015.01.05 |
바닷속에서 떠다니는 터빈을 이용하는 해양에너지 프로젝트 (0) | 2015.01.05 |
소형 풍력 발전 부품 표준화를 위한 연구 개발 착수 (0) | 201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