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4-12-24 |
|
미 피츠버그 대학(University of Pittsburgh)의 교수진은 셰일가스(Shale Gas)와 관련하여 실시된 3가지 연구의 주요 발견사항을 Energy Technology 저널에 공유하였다. 셰일가스에 초점을 맞춘 Energy Technology 저널의 특별호에서 저자들은 무선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는 스마트 정(Smart Well), 폐수관리, 셰일가스 시추 작업 간 환경 및 보건 영향과 관련한 입법자, 규제자, 산업대표, 연구원 및 대중간의 정보 격차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미국, 유럽 및 아시아에 걸친 전문가들이 셰일가스 개발에 기여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피츠버그 대학 화학 및 석유공학과 교수인 Götz Veser는 이들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Energy Technology 저널의 편집 위원회 중 한 명인 Veser 교수는 "이번 호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특별한 주제를 구체화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한다. 또한 세계적인 수준의 전문지식 중 일부를 강조하고 있다"고 말한다. 특별호에 나타난 3가지 연구방향 및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 스마트 정 Andrew Bunger 교수와 공동저자들은 일련의 센서를 개발하는 일을 제안하였다. 정 내부에 투입되는 이 센서는 지하 깊은 곳으로부터 데이터를 뽑아낸다. 시추 회사들은 생산정에 대해서는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고, 비생산적인 정에 대해서는 생산량을 증가시키거나 아예 중단시키고,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가스 또는 석유 지역을 찾아내기 위한 정보로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피츠버그 대학 전기컴퓨터공학과 Ervin Sejdić 교수, 박사학위를 수행 중인 Nicholas Franconi, Marlin Mickle 명예교수와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Bunger 교수는 무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자원 확보를 개선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Bunger 교수는 지금은 초기 단계인 무선 통신 기술을 휴대전화와 비교하였다. 예를 들어, 휴태전화 통신은 피츠버그에서 로스엔젤레스까지 먼 거리를 직접 연결하는 대신 중계탑과 중계탑이 서로 연결되어 신호를 내보낸다. 그는 암석이나 다른 지질학적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장거리로 송신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와 유사한 단계적인 공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 폐수 관리 피츠버그 대학의 Radisav Vidic 교수는 시추 시 발생하는 폐수를 안전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궁극적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해로운 물질을 폐수에서 제거하는 방안을 조사하였다. 토목환경공학과 교수이자 수압파쇄(Fracking) 공정의 물 전문가로 잘 알려진 Vidic 교수는 펜실베니아의 마셀러스 셰일(Marcellus Shale) 저장소에 적용된 수압파쇄 공정에서 생산되는 폐수를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 정보 차이 Shanti Gamper-Rabindran 교수는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차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접근하는데 있어 대중, 연구원, 규제자 및 투자자들 간의 상대적 차이가 발생한다면 이들이 셰일 산업과 관련한 보건 및 환경 영향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차이를 좁히는 일은 위험 관리(Risk-management) 전략의 개선에 유용하며, 이를 통해 산업 및 사회에 혜택을 줄 것이다. Gamper-Rabindran 교수는 "셰일가스의 혜택과 위험에 대한 불확실성, 이들 혜택과 위험이 사회 내로 불공평하게 분산되는 것, 위험 완화 전략이 주는 혜택과 이를 위한 비용 사이의 균형 필요성 등의 이유로 비전통적인 셰일가스 개발의 생애주기와 관련하여 정보에 입각한 공청회는 중요하다"고 밝혔다. |
'Power, E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효율 모터의 세계 최고수준 에너지효율성을 실증 (0) | 2014.12.24 |
---|---|
유럽, 안정적인 풍력 슈퍼 그리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0) | 2014.12.24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지속적인 성능저하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0) | 2014.12.23 |
벨기에 도엘 1, 2호기 수명연장 승인 (0) | 2014.12.22 |
앙그라 1호기 시뮬레이터 준비 완료 (0) | 201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