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4-12-15 |
|
![]() 런던에 위치한 프레스컨퍼런스홀에서 스티븐 호킹 박사는 Intel社의 연구개발이 세계에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게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지원해줄 수 있을 것이라는 포부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음성시스템 기술이 자유롭게 이용가능해지는 것을 통해 전 세계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삶의 질이 잠재적으로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l社와 스티븐 호킹 박사는 지난 3년간 새로운 음성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으며, Intel社의 연구진들도 큰 몫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사의 컴퓨팅연구소의 매니저인 Lama Nachman씨는 어떤 방식으로 보조문맨인식 툴킷이라 불리는 소프트웨어가 호킹 박사의 20년 넘은 뺨 근육의 운영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움직이게 되는지를 설명하였으며, 또한 호킹박사가 문자열을 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말을 할 수 있는 속도를 2배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결국 호킹 박사의 연설을 해당 음성시스템을 통해 2배 가량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일부 코멘트들 중에서는 10배 가량의 속도가 증가되는 쾌거를 거두게 되었다고 한다. Intel팀과 호킹 박사가 지난 3년간 호킹 박사의 의사소통시스템을 업그레이드시키는데 노력해왔으며, 기존에 사용해오던 20년 넘은 음성시스템은 효율적인 대화가 어렵다는 점을 발견하여 이번 새로운 음성시스템 개발에 착수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인식의 속도가 증가한 것뿐 아니라 보다 빠르게 쓸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 강의를 지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논문과 책을 쓰는 것은 물론 가족이나 친구들과 손쉽게 대화할 수도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SwiftKey社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모바일기기들에서 흔히 발견되는 예측가능한 텍스트엔진으로 호킹박사의 새로운 언어구조를 Intel社의 사용자인터페이스와 결합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고 한다. 텍스트 입력은 입력방식과 관련된 사안이 아니며, 언어와 관련된 것이라는 것이 SwiftKey 기술담당자인 Joe Osborne씨의 주장인 셈이다. 호킹박사는 새로운 음성시스템이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단어들 중 15퍼센트에서 20퍼센트 가량만을 입력하면 된다고 한다. 호킹박사의 언어사용 패턴은 과학적인 어휘의 측면에서 다소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새로운 음성시스템이 호킹박사의 언어사용패턴을 빠르게 적응하고 있어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언어에도 손쉽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호킹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보조문맥인식 툴킷이 인생을 바꾸어놓을 아이템이라고 묘사하였으며 향후 20년간 사용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Intel Labs의 Denman씨는 개발팀이 시간을 들여 스크린으로 어떻게 호킹 박사가 음성시스템들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윈도우즈 운영체제의 숏컷들과 같은 기능들을 사용하는지를 관찰하면서 개발작업을 착수하였다고 한다. 이에 어떤 방식으로 호킹 박사가 글을 쓰고 인식하는지를 발견해내면서 시스템개발에는 가속도가 붙었다고 한다. Denman씨에 따르면, Intel社가 거대하고 빠르게 상품들을 개발해내는데 재주가 있긴 하지만, 때로는 실제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주 작은 사소한 것들을 개발해내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달라고 밝혔다.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소성 공동·틈새 충전제 - 스라멘트 공법 (0) | 2014.12.16 |
---|---|
리튬 이온배터리의 전극 재료 표면 개질 : 상태와 트렌드 (0) | 2014.12.15 |
고온 초전도를 담당하는 전자의 비정상적인 질서 상태 관측 (0) | 2014.12.15 |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수소 발생 전극 개발 (0) | 2014.12.15 |
수소 생산을 위한 저가 우수 촉매 개발 (0) | 201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