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is_cd_2_s=01&issue_no_s=3&record_no=251305&cont_cd=GT&is_cd_1=IS01&is_cd_2=01&is_cd_3=3 | |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4-10-07 |
|
![]() 인간의 눈, 쥐의 뇌, 로봇에 대한 컴퓨터 모델링이 신경 과학 및 신기술의 개발을 혁신할 수 있다고 퀸즐랜드 공대(QUT)의 과학 및 공학부 교수이며, 로봇 공학 연구자인 마이클 밀포드(Michael Milford) 박사가 말했다. 이 새로운 연구는 로봇이 고밀도의 건물이나 터널에 제한되지 않고 지능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한다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전했다. "이것은 바로 프랑켄슈타인과 같은 유형의 프로젝트이다. 우리는 인간의 눈을 가져와서 쥐의 뇌와 연결하려고 시도하기 때문에 두 개의 반쪽을 하나로 결합한 것"이라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말했다. "설치류(쥐・토끼처럼 앞니가 날카로운 동물)의 공간 기억력은 강력하지만, 시력은 매우 약하다. 반면에 인간은 시력으로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설명했다. "우리는 로봇을 위하여 인간과 쥐의 뇌를 각각 모델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로봇이 환경 속에서 이리 저리 이동하고 무엇이 발생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이 두 소프트웨어를 결합하고 있다"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2014년 9월 29일에 영국 왕립 학회의 한 학술지(명칭: journal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에서 온라인으로 출판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특히 인간이 익숙한 장소를 어떻게 인식하지 못 하게 되는지를 포함하여 인간의 뇌가 어떻게 저하되는지를 연구할 것이라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전했다. "인간의 뇌가 가진 공간 주행 능력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질병으로 조기에 저하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정신 질환을 연구하기 위한 잠재적 연구 메커니즘으로 연관성을 가진다"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덧붙였다. 마이클 밀포드 박사는 시각적으로 장소를 인식하는 기술 개발 분야를 선도하는 호주의 전문가이며, 퀸즐랜드 공대(QUT)에 본부를 둔 호주 연구 위원회 로봇 비전 우수 연구 센터(Australian Research Council Centre of Excellence in Robotic Vision)의 수석 연구자이다. 장소 인식은 주행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현재까지 이 기술은 제한적이라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전했다. "현재의 로봇 주행 시스템 및 개인용 주행 시스템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 많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은 단지 개방된 야외에서만 작동하며, 레이저는 고가이고, 카메라는 너무 민감하다. 반면에 자연은 최고의 주행 시스템을 진화시켜왔다"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설명하였다. 개인용 주행 시스템이 터널에서는 위성 신호를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는 출구를 놓치거나 잘못된 출구를 탈 수 있다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말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가 진짜로 멋있고 유용한 기술을 창안하고자 하는 많은 사례들 가운데 하나"라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강조하였다. 마이클 밀포드 박사는 기본적인 과학 연구를 통하여 놀라운 기술을 창안하려는 데에 의욕이 높다. 자신의 연구 프로젝트는 제조, 환경 관리, 노인의 건강 등에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말했다. "우리는 인간의 시각과 쥐의 뇌에 대한 매우 정교한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 각각은 이미 최신의 기술이다. 우리는 모든 기본적 연구 결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함께 결합하는 것은 우리가 당면한 엄청난 도전과제"라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설명하였다. "나는 이것이 어떻게 진행될지를 정확하게 모른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연구하는 이유"라고 마이클 밀포드 박사가 부언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하버드 대(Harvard University), 미국의 보스턴 대(Boston University), 벨기에의 앤트워프 대(University of Antwerp) 등과 같은 최고 수준의 국제적 연구기관을 포함하여 퀸즐랜드 공대(QUT)와 퀸즐랜드 대(University of Queensland)가 협력하여 진행하는 국제적인 학제 간 연구 프로젝트이다. [관련 논문 서지 정보] M. Milford, R. Schulz. "Principles of goal-directed spatial robot navigation in biomimetic model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5 November 2014; Vol. 369 No. 1655: 20130484 DOI: 10.1098/rstb.2013.0484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의 흔적을 추적하는 그래핀 센서 (0) | 2014.12.02 |
---|---|
뇌에 존재하는 새로운 ‘수면노드 (sleep node)’ 발견 (0) | 2014.12.02 |
자기장으로 형성된 항성의 우주 광선 (0) | 2014.12.02 |
100년 안에 역전될 수 있는 지구 자기장 방향 (0) | 2014.12.02 |
수컷은 태생적으로 먹이보다 짝짓기를 선호하도록 만들어졌다. (0) | 2014.12.02 |